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ELS 수익률 “쏠쏠하네”

상환 584개 연평균 7.75%…조기상환형이 대부분


지금까지 상환된 주식연계증권(ELS)의 연평균 수익률이 8%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기상환형과 투스타형 ELS의 수익률이 두드러졌던 것으로 분석됐다. 28일 KIS채권평가가 발표한 ‘ELS 성과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5월 말까지 발행된 ELS 1,550여개 중 조기 또는 만기 상환된 ELS 584개의 평균 수익률이 연 7.75%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한국은행이 발표한 5월 정기예금 금리 3.43%에 비해 4%포인트 가까이 높은 수준이다. 상환된 ELS 중에 90%가 2.5~27.5%의 수익을 거뒀고 최고 수익률은 연 67.8%(코스피200기초자산 베리어형), 최저 수익률은 마이너스 33.3%(Call-Able형)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ELS 구조별 수익률은 조기상환형이 8% 이상의 수익을 올린 것으로 조사됐다. 기초자산 2개인 조기상환형 상품은 평균 10.90%의 수익률을 기록했고 ▦기초자산 1개 8.0% ▦신종조기상환 기초자산 1개 8.23% ▦신종조기상환 기초자산 2개 8.97% ▦조기상환 스프레드 8.15% 등의 수익률을 보였다. 특히 연 20%가 넘는 고수익을 낸 ELS는 13개로 2004년 5∼7월에 설정된 뒤 그해 11월부터 지난 2월 주가가 강세를 보일 때 조기상환된 상품들이다. 그러나 조사대상 상품 중 121개는 주가가 일정 수준 이상 올라가면 오히려 0∼2%선의 수익률만 제공되는 녹아웃형이어서 큰 수익을 내지 못했다. 기초자산별 수익률은 기초자산이 1개인 ELS 중에는 삼성SDI ELS의 수익률이 8.32%에 달했고 그 다음으로 국민은행(8.11%), 삼성전자(7.68%), 종합주가지수(6.24%) 등의 순이었다. 또 ELS의 52%를 차지하고 있는 기초자산 2개인 ELS 중에는 LG전자ㆍSK 조합의 수익률이 14.39%로 최고였으며 삼성전자ㆍ우리금융(13.70%), 삼성전자ㆍ닛케이225(13.46%) 등도 높은 편이었다. 그러나 주가지수ㆍ삼성전자 구조의 ELS는 수익률이 0%였고 수익률 10% 미만도 많았다. 남길남 팀장은 “침체된 경기상황과 저금리를 고려할 때 ELS는 원금손실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며 “특히 ELS는 기초자산, 발행시기 및 행사시기에 따라 수익률 차이가 컸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근 들어 출시가 늘고 있는 기초자산 3개인 ELS는 중도상환 수익률이 높은 편이지만 아직 만기도래한 경우가 없어 판단하기에는 이르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