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박흥진의 할리우드통신] "美 군당국이 감독에 특급비밀 공개"…

빈 라덴 암살작전 영화 제작에 특혜설

올해 오스카 작품상을 받은 전쟁 스릴러 '허트 로커'를 감독한 캐서린 비글로와 각본을 쓴 마크 보알이 다시 손 잡고 오사마 빈 라덴 암살작전을 영화로 만든다. 두 사람은 지난 5월 '제로니모 작전'이라는 이름으로 해군특공대(SEAL)와 CIA 요원이 합동해 파키스탄에 은신 중이던 빈 라덴을 살해한 과정을 액션 스릴러로 만들 예정이다. 그런데 영화 제작 과정에서 백악관을 비롯한 정부당국이 두 사람에게 적들이 유용하게 쓸만한 특급비밀을 공개했다는 신문 기사가 나오면서 영화는 제작이 시작되기도 전에 특혜 구설수로 역풍을 맞고 있다. 뉴욕타임스(NYT)의 칼럼니스트 모린 다우드는 얼마 전 비글로와 보울이 미 역사상 가장 철저한 비밀 속에 진행된 작전에 관한 특급정보를 열람했으며 이 영화가 2012년 대통령선거가 임박한 시점에 개봉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피터 T. 킹(공화) 하원 국가안보위 위원장은 국방부와 CIA에 서한을 발송, 기사의 사실여부를 조사해 줄 것을 요청했다. 그는 이와 함께 영화 개봉일이 대통령 선거와 맞물려 오바마의 재선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표명했다. 국방부는 "두 사람이 국방부 정보관계 고위 인사를 인터뷰 한 것은 사실"이라면서 "비글로 감독의 영화에 대한 군 당국의 협조여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 같은 정부의 특혜 논란에 휩싸이자 비글로와 보알은 성명을 내고 "우리의 영화는 클린턴과 부시와 오바마 세 행정부의 결집된 노력과 국방부, CIA의 협동작전을 취합해 묘사할 것"이라면서 "빈 라덴 암설작전은 당 차원을 떠난 미국의 승리로 우리는 이 승리를 결코 본래 뜻과 달리 그릴 의도가 없다"고 강조했다. 미 군당국과 할리우드는 오래 전부터 서로의 필요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 왔다. 전쟁영화를 만드는 영화사들은 영화의 사실성을 위해 장비와 인력, 정보, 장소를 제공해줄 군 협조가 절실하고 군 역시 젊은이들의 자원입대와 군의 사기진작, 대 국민 홍보를 위해 할리우드의 협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작 비글로 감독의 전작 '허트 로커'는 군 당국의 외면을 받았다. 이라크전에 참전한 폭파물 제거반원의 활약을 그린 영화 속 주인공은 위험한 독불장군식 행동을 해 결국 군 당국의 협조를 받지 못했다고 LA 타임스가 최근 보도했다. 군당국이 '허트 라커'와 달리 빈 라덴 암설작전 영화 제작에 적극 협조 의사를 보이는 것은 이 영화가 특수훈련을 받은 군인들이 정보기관, 행정부와 삼위일체가 돼 전공을 세웠기 때문이다. 미국민들이 잘 모르는 베일 속의 군 특공대와 시민들에게 별로 인기 없는 정보당국 및 정부가 두루 스포트라이트를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온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