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李게이트' 수사 재시동

대검중수부도 연루의혹 정치권 소환예정'이용호 국감' 이나 다름없던 국정감사가 막을 내리고 검찰의 기소로 이용호ㆍ여운환씨의 로비의혹에 대한 진실규명은 이제 법정에서 다뤄지게 됐다. 그러나 여전히 정ㆍ관계 로비 의혹은 증폭되고 있고 야당은 10월 한달 간 국정조사를 벌인 뒤 11월부터 특별검사제에 돌입할 것으로 보여 '이용호 게이트'는 적어도 연말까지 장내ㆍ외에서 '뜨거운 감자'가 될 전망이다. ◇검찰의 공과(功過) 검찰은 지난 한달 수사를 벌이며 이씨의 688억원 횡령과 256억원 대의 주가조작 사실을 밝혀냈다. 또 여씨가 이씨로부터 로비 등의 명목으로 받은 42억여원 중 현재 사용처가 드러나지 않은 13억4,000만원의 행방을 좇고 있다. 검찰은 현재 로비실체를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보았던 자금추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태로 이씨의 입에 절대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이씨는 검찰에서는 '모르쇠'로 일관한 반면 국감장에서는 하나 둘씩 돈을 준 인사의 이름을 거론, 검찰을 당혹케 했다. 더구나 검찰은 대양상호신용금고 김영준씨 등 일부 피의자를 수사초기 출국금지 하지 못해 현재까지 수사에 큰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앞으로도 '산 넘어 산' 특감본부는 휴일 연휴가 채 끝나지 않은 3일 임휘윤 부산고검장을 소환 하는 등 검찰 내 연루의혹을 밝히는데 재시동을 걸었다. 대검 중수부가 핵심 인물 잠적에 자금 추적 난항이라는 암초에 부딪쳐 있는 반면 특감팀은 그런 데로 순조롭게 진행중이다. 물론 아직 당사자의 진술이 많이 엇갈리는 데다 당시 상황을 맞춰나가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리고 있는 상황이지만 이씨 불입건 과정에 윗선이 상당 부분 개입한 흔적을 확인, 관련자들의 사법처리에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대검 중수부도 곧 국감 등을 통해 로비 의혹이 제기된 정치권 인사에 대해 본격 소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박병윤 의원과 조홍규 전 의원(한국관광공사 사장), 민주당 강운태 의원 등에 대해서는 진상 확인 차원에서라도 소환, 돈의 성격과 대가성 여부를 확인하는 작업이 불가피해 보인다. 김정곤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