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트위터, 선거의 변수에서 상수로?

4ㆍ28 재보선에서 트위터가 ‘의외의 변수(變數)’를 넘어 상수(常數)로 자리매김했다. 스마트폰 사용자 1,000만 시대를 맞아 여야 정치권은 물론 유권자 역시 트위터에서 ‘선거 소통’을 이뤘다. 트위터는 지난해 6ㆍ2지방선거에서 투표일 막판 젊은 층의 투표율 상승을 이끌며 막판 야당의 지지도를 올렸다는 분석을 낳았다. 이번 선거에서도 여야 할 것 없이 후보들이 트위터를 적극 활용했다. 김우석 한나라당 디지털본부 수석부본부장은 27일 "지난해 지방선거에서 트위터가 선거운동의 유용한 기제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선언적으로 선포했다면 스마트폰 이용자가 1,000만명을 넘어선 지금은 정치적으로 각광받는 미디어가 됐다"고 말했다. 강원도지사 보선에 출마한 최문순 후보의 선거운동을 도운 곽은미 민주당 U정당국장도 "과거 선거에서 트위터를 활용해보면 거의 반응이 없었는데 이번에는 리트윗도 많이 하는 등 반응이 뜨거웠다"고 말했다. 특히 한 명의 트위터리안(트위터사용자)의 글을 다른 사람이 받아 전달하는 ‘리트윗(retweet) ’기능은 트위터의 위력을 떨치게 했다. 리트윗을 거칠수록 영향력이 양적으로 팽창할 뿐만 아니라 온라인 여론을 주도하는 파워 트위터리안을 거치게 되면 질적으로도 무게감이 달라진다. 투표 후 트위터에 인증샷이나 글을 올리는 유권자의 모습도 눈에 띈다. 또한 지난 지방선거 때만 해도 트위터 사용자 가운데는 20~30대가 많아 야당에 유리하다는 해석이 높았다. 그러나 젊은 나이의 보수층도 상당하고 트위터의 대중화로 인해 특정 정치 성향이 상대적으로 줄었다는 평가도 있다. 한편 트위터가 활성화하면서 중앙선관위원회도 트위터를 활용한 일반 국민들의 선거 참여를 환영하고 나섰다. 이재일 선관위 공보국장은 이날 MBC 라디오에 출연해 “트위터나 휴대전화 문자를 통해 투표를 독려해도 무방하다”고 밝히고 "공정한 투표참여 권유활동은 공익적 성격으로 권장할 부분"이라고 말했다. 다만 확인되지 않은 정보가 일파만파 퍼지는 트위터의 특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등장한다. 특히 여야 후보들은 상대 후보의 흑색선전에 트위터가 활용되지 않는지 선거 기간 내내 주시하는 모습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