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기자 아빠·초등생 딸이 함께 엮은 조기유학 체험기

조재우 기자의 '허허실실 조기유학'


기자 아빠·초등생 딸이 함께 엮은 조기유학 체험기 조재우 기자의 '허허실실 조기유학' 한국아이닷컴 이병욱 기자 wooklee@hankooki.com 기자 아빠와 초등생 딸이 미국에서 겪은 실전 조기유학 체험기가 나왔다. 최근 출간된 '허허실실 조기유학'은 한국일보 기자인 저자가 미국 시애틀에 있는 워싱턴대에서 연수 기회가 생기면서, 초등 4년생 딸(현재 중1)과 함께 떠나 2년간 경험한 유학생활 분투기다. 단순히 유학생활 중 있었던 에피소드를 나열하지 않고, 책의 제목대로 조기유학의 허와 실을 학부모이자 기자의 눈으로 날카롭게 파헤치고 있다. 이 책은 우리 사회에 만연해 있는 조기유학에 대한 환상과 거품을 걷어내고, 조기유학을 고민하거나 계획 중인 학부모와 학생들이 현실적이고 최선의 판단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소중한 경험담을 담고 있다. 기존의 조기유학 서적이 국내에 기러기 아빠를 두고 엄마가 아이와 조기유학을 떠나 엄마의 시각으로 쓴 책이 대부분이었다면, 이 책은 반대로 '기러기 엄마'가 한국에 남아 일을 하고 아빠가 딸을 데리고 조기유학을 간 경우라는 점에서 다른 책들과 차별성을 지닌다. 꿈을 좇아 비행기에 몸을 싣는 조기유학이지만 현실 속에는 여러가지 어두운 면과 부작용 또한 내재돼 있는 게 사실이다. 특히 현장에서 사실상 '가족 해체'의 다른 이름이 돼 버린 경우를 자주 목격할 수 있다고 저자는 밝히고 있다. 미국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어린 학생들이 '유창한 영어'라는 훌륭한 결실을 맺는다고 해도 결국 부모들의 희생이나 잃어버린 가족의 가치와는 비교될 수 없을 정도로 작은 것이라는 게 유학 생활이 저자에게 가져다준 깨달음이다. 언어는 의사소통이라는 목적을 충족시키는 '수단'에 불과할 뿐, 가족의 행복을 희생해가면서까지 감당해야 할 가치가 있는 것일까 되묻고 있다. 하지만 이런 희생조차 감내할 준비가 된 예비 기러기 가족들을 위해 이 책은 체험 속 살아있는 정보와 노하우를 제공하고 있다. 미국 초·중등학교의 교육 시스템을 통해 터득한 아이들 교육방법을 소개하면서 우리 사회의 과다한 교육열과 삐뚤어진 교육 시스템을 비판하고 있다. 또 미국에 살면서 부딪힌 일상 속 문제와 그 해결법, 미국 문화에 대해 보고 느낀 점 등을 진솔하게 기록하고 있다. 저자는 고려대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정치외교학과 석사를 마쳤다. 한국일보사 기자로 입사해서 사회부·경제부·국제부 등에서 근무하다 2005년 8월부터 2007년 8월까지 2년간 미국 시애틀의 워싱턴대(University of Washington)에서 방문학자로 연수를 다녀왔다. 미국 연수시절부터 운영한 '시애틀 방문학자 모임'(http://cafe.daum.net/uwkvp) 카페지기로 있으면서 회원 1,200여명과 함께 활발하게 카페를 운영 중이다. 현재 한국일보 편집국 피플팀장으로 있다. 조재우 지음, 280쪽, 1만4.000원, 한울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