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금융硏 "가계대출 부실화 대비해야"

"소득악화로 신용도 위험 높아져… 모니터링 강화를"

가계 부문의 소득 여건이 악화되면서 가계의 신용도 위험이 높아지고 있어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병윤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18일 '우리나라 가계대출의 부실화 가능성과 대응 방안'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가계의 신용위험도가 높아지고 있는 주요 이유로 가계의 소득 여건 악화를 꼽았다. 이 연구위원은 "올해 3·4분기 실업률은 3.6%로 다소 하락했으나 지난해에 비해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며 "실질임금증가율도 올해 1·4분기 -5.6%, 2·4분기 -4.3% 등 감소세가 뚜렷하다"고 말했다. 가계대출금리를 결정짓는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와 은행권의 가산금리 상승도 가계의 신용위험도를 높이는 결과로 지목했다. 지난해 말부터 CD금리가 하락하자 금융회사들은 가산금리를 크게 높여 적용해왔다. 그러나 최근 CD금리마저 상승하자 가계의 채무상환부담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가계대출 부실이 금융시스템 위기로까지 이어질 가능성은 낮은 편"이라며 "하지만 부동산 가격 급락 등의 요인으로 가계대출 부실이 금융회사의 건전성 악화와 소비위축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