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국회의원들 "경제계가 가장 부패"

국민·전문가집단은 '정치인이 최하위 직업' 꼽아<BR>투명사회협약 여론조사

국회의원들은 가장 부패한 집단으로 자신들이 아닌 경제계를 지목했다. 투명사회협약실천협의회(집행위원장 이학영)는 6월10일부터 17일까지 여론조사 전문기관 폴앤폴에 의뢰하여 국회의원 29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투명사회협약관련 국회의원 여론조사’(응답자 216명)에서 ‘우리나라의 공공, 정치, 경제, 시민사회 각 분야별로 부패의 수준이 어느 정도라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52.7%의 국회의원들이 ‘경제분야의 부패정도가 가장 높다’고 응답했다. 이에 앞서 지난 6월 16일 투명사회협약실천협의회가 발표한 ‘투명사회협약관련 국민ㆍ전문가 의식조사 결과’에서는 2,000명의 일반 국민과 501명의 전문가가 모두 정치인을 13개 직업군 중 최하위로 꼽혔었다. 응답자들은 분야별 부패수준 인식에서 ▦공공분야는 ‘낮다’ 18.5%, ‘높다’ 48.6% ▦정치분야는 ‘낮다’ 20.8%, ‘높다’ 40.8% ▦경제분야는 ‘낮다’ 16.2%, ‘높다’ 52.7% ▦시민사회분야는 ‘낮다’ 50.5%, ‘높다’ 14.8%로 응답해 시민사회분야의 부패수준을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고, 그 다음 부패가 심하지 않은 곳으로 자신들이 속해있는 정치분야를 꼽아 ‘정치인의 부패’에 대한 자각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열린우리당 소속 의원과 한나라당 소속 의원 간의 분야별 부패인식을 비교해보면, 열린우리당 의원은 경제분야>공공분야>정치분야>시민사회분야 순으로 부패수준을 높게 보고 있으며, 한나라당 의원은 공공분야>정치분야>경제분야>시민사회분야의 순으로 부패수준을 높게 인식하고 있다. 국회의원들은 또 ‘정치 분야의 부패 개선을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개선되거나 보완되어야 할 부분은 어떤 것으로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정치 자금의 투명성 강화(38.4%)’를 가장 시급하다고 응답했고 ▦‘당리당략적 정쟁의 개선(31.9%)’ ▦‘국회의원의 윤리강화(28.2%)’ 등이 뒤를 이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