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김정일 사망, 증시에 단기 악재에 그칠 듯”

과거에도 북한 리스크는 국내 증시에 악재로 작용했지만 효과는 단기간에 그쳤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으로 시장이 혼란에 빠졌지만, ‘학습 효과’ 때문에 악재 영향력이 오래가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19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코스피는 오후 1시25분 현재 전날보다 3.20% 내린 1,781.16포인트를 기록하고 있다. 장중 한때 1,750.60포인트까지 떨어졌다가 소폭 반등했다. 전례를 보면 북한 변수로 인한 충격은 오래가지 못했다. 삼성증권에 따르면 김일성 주석이 사망했다는 소식이 알려진 1994년 7월8일 코스피는 전날보다 0.34% 상승했다. 다음 거래일인 11일 장중 2.11% 떨어졌지만 0.80%로 낙폭을 줄여 마감했다. 수차례 북한 군사도발과 핵실험이 있었지만, 역시 단기 악재에 그쳤다. 1차 연평해전이 발발한 1999년 6월15일 코스피는 장중 4% 가까이 추락했다가 2.21% 하락한 803.72포인트로 거래를 마쳤다. 이후 불과 한 달 만에 1052.59포인트로 고점을 찍는 저력을 보이기도 했다. 2차 연평해전이 증시에 영향을 미친 2002년 7월2일에도 코스피는 오히려 0.47% 올랐다. 이밖에 2006년 10월9일 1차 핵실험 때는 장중 3.58% 하락했다가 2.41% 떨어진 채로 마감했다. 또 2009년 5월25일 2차 핵실험 당일 장중 6.31% 추락했지만 낙폭을 대부분 만회해 0.2% 하락하는 데 그쳤다 천안함 침몰, 연평도 포격 등 최근까지도 이러한 양상은 계속 됐다. 삼성증권은 “지정학적 위험이 갑자기 높아져 주의가 필요하지만, 전례를 고려해 조심스럽게 저가매수 기회로 활용하는 전략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온라인뉴스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