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MVNO "이제 경쟁해 볼만"

"제도 거의 완성… 가입자 많으면 최대 53%까지 할인" <br>다량구매할인율 등 확정, 저렴한 요금 출시 가능해져


'제도는 어느 정도 완성됐고 이제 경쟁만 남았다.' 20일 방송통신위원회가 이동통신재판매(MVNO) 사업과 관련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면서 MVNO 업체들이 본격적으로 전열을 가다듬고 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그동안 MVNO 사업자들의 최대 관심사였던 다량구매할인율이 정해지면서 지금보다도 저렴한 요금제 출시가 가능해졌다. 예를 들어 지난 1일 아이즈비전이 내놓은 선불요금제인 '아이즈비전PPS 일반'으로 50분을 통화할 경우 1만1,400원의 요금이 부과된다. 하지만 아이즈비전이 120만명의 가입자를 모으게 되면 여기서 6%(약 680원)가 더 할인될 수 있다. SK텔레콤의 선불요금제로 똑같이 50분을 통화하면 1만9,140원이 든다. 아이즈비전 관계자는 "다량구매 할인율 적용이 그대로 요금 인하로 이어질지는 아직 모르지만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이는 방통위가 20일 상임위 전체회의를 통해 MVNO 사업을 위한 '도매제공 가이드라인'을 확정한 덕분이다. 이 가이드라인의 골자는 MVNO 사업자가 기존 이동통신사로부터 통신망을 빌려 사업하면서 가입자 규모에 따라 통신망 임대료를 좀 더 할인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 예를 들어 한국케이블텔레콤(KCT)의 가입자 수가 20만명 이하면 기존 통신망 임대 할인율(31~47%)만 적용받는다. 하지만 20만명을 넘어서면 1%, 80만명은 40%, 120만명 이상은 6%의 '다량구매할인율'을 적용받게 된다. 많이 빌려 쓰는 만큼 할인폭을 늘려준다는 취지다. 덕분에 MVNO 사업자들은 최대 53%의 할인율을 적용받을 수 있게 됐다. MVNO 업체들은 이전까지 8~10% 가량의 다량구매 할인 제도가 필요하다고 주장해왔지만 SK텔레콤 등은 다량구매 할인을 일절 적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었다. 하지만 방통위가 MVNO 업계의 손을 들어주면서 이제는 이동통신사들과의 갈등이 어느 정도 가라앉게 됐다. 지난 5일 MVNO 사업을 개시한 KCT 관계자는 "아직은 선불 요금제만 출시한 상태지만 올해 하반기부터 후불 요금제가 출시되면 본격적으로 시장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며 의욕을 나타냈다. 아이즈비전 관계자도 "MVNO 사업팀 직원들을 계속 증원하고 있다"며 "해외에서 중저가 스마트폰을 들여와 경쟁력을 키워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인스프리트는 지난 6월 말 KT의 와이브로망을 활용해 중소기업ㆍ자영업자 대상의 데이터 서비스를 시작했다. 올 하반기에는 온세텔레콤, 대성그룹 등도 MVNO 사업을 본격적으로 개시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