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약국·소비자, 의약품 부작용 신고 하세요"

식약청, 관련 보고 건수 저조… 밀착홍보 나서기로


지난해 국내 의약품 부작용 보고건수가 전년도에 비해 2배가량 급증했지만 약국과 일반소비자의 부작용 보고건수는 여전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0만명당 부작용 보고건수로 살펴보면 선진국 수준으로 근접하고 있지만 약을 직접 접하는 소비자와 약국 등의 부작용 신고가 좀 더 활성화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지난해 국내 의약품 부작용 보고사례가 5만3,854건으로 지난 2009년 2만6,827건의 두 배 수준으로 늘었다고 25일 밝혔다. 이를 인구 100만명당으로 환산해보면 1,117건으로 미국(1,873건)보다는 적지만 유럽연합(EU∙438건), 일본(272건)보다는 많다. 다만 병∙의원(72.0%)이나 제약업체(27.8%)의 관련보고가 대다수를 차지한 반면 약국(0.01%)이나 일반소비자(0.06%) 보고비율은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병∙의원의 부작용 보고건수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2008년 48%에서 2009년 58%, 지난해 72%로 매년 큰 폭으로 늘고 있다. 이는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한 국내 지역약물감시센터가 식약청에 의약품 부작용 보고를 의무화하면서 부작용 보고사례가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식약청의 한 관계자는 "부작용 보고비율이 매우 저조한 약국과 일반소비자를 대상으로 밀착된 홍보를 펼쳐 인식도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의약품은 유익성만 있는 것이 아니라 부작용이 수반될 수 있기 때문에 보고건수가 많을수록 의약품에 대한 평가가 충실해져 필요한 위험 완화조치가 조기에 이뤄질 수 있다"며 "세계 각국의 보건당국은 부작용 보고자료를 제품의 시판 후 안전성 평가에 활용하고 있어 보고건수 증가는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해 보고된 의약품 부작용 중 제품군별로는 항생제가 13.77%로 가장 많았으며 증상별로는 두드러기∙발진이 15%로 빈도가 가장 높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