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韓, GDP 대비 R&D 투자비중…OECD 국가중 ‘2위’

우리나라의 연구개발(R&D) 투자 규모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최상위권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4일 “OECD가 터키 이스탄불에서 열린 ‘OECD 지식경제글로벌포럼’에서 이러한 내용의 ‘OECD 과학·기술·산업 스코어보드 2013’ 보고서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 GDP 대비 R&D 집약도 ▲ 민간기업 R&D 투자의 GDP 대비 비율 항목에서 각각 2위를 차지했다. 직전인 2011년 조사에서는 두항목 모두 4위를 기록했다. 또 정부의 민간 R&D 보조금과 조세지원규모의 GDP 대비 비율은 4위로 조사됐다.


특히 우리나라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전체 R&D 투자 비중이 4.03%를 기록, 1위 이스라엘(4.38%)과 차이가 0.35%포인트에 불과하다. 3위인 핀란드는 3.78%, 4위인 일본은 3.39% 수준이다.

관련기사



민간 R&D 투자의 GDP 대비 비중은 3.09%로 이스라엘(3.51%)에 이어 2위다.

정부의 민간부문 R&D 투자에 대한 직접적인 보조금과 간접적인 조세지원 부문은 GDP 대비 비율에서 각각 0.19%와 0.2%로 집계돼 러시아(0.39%·0.02%), 미국(0.26%·0.06%) 등에 이어 4위를 차지했다.

한편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 구축 측면에서는 세계 최상위 수준을 유지했다. 인터넷 접속속도와 브로드밴드 다운로드 속도는 덴마크에 이어 2위, 인구 100명당 무선브로드밴드 가입인구 항목은 핀란드, 스웨덴, 호주에 뒤이어 4위다.

그러나 민간기업의 R&D 투자 중 중소기업의 R&D 투자비율은 18위(2011년 22위), 대학 R&D 투자의 GDP 대비 비율은 23위(24위), 민간기업 R&D 투자 중 해외로부터의 자금지원비율은 35위(35위) 등으로 OECD 국가 평균을 밑돌아 정부 차원의 육성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