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은행권, 건설업체 지원 '헛바퀴'

지난달초 TF팀 구성불구 부채 규모조차 파악 못해<br>'주택보증'과 이견 커 PF대출 규준 마련도 난항

건설경기 침체로 자금난을 겪고 있는 건설회사들을 지원하기 위해 출범한 은행권의 태스크포스팀(TFT)이 뚜렷한 지원방안을 마련하지 못한 채 공전을 거듭하고 있다. 2일 금융계에 따르면 은행권은 지난해 12월 초 6개 은행 실무자들로 TFT를 구성했지만 지원 대상 건설업체들의 구체적인 부채 규모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지원은커녕 지원 기준조차 만들지 못한 상황이다. 은행권은 현재 건설업체들이 은행뿐 아니라 저축은행 등 2금융권으로부터 빌린 자금 규모를 파악해야 구체적인 지원 방법 및 규모 등을 확정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TFT는 이달 중순께 다시 모임을 가질 예정이나 12조원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을 집행한 저축은행 등 2금융권이 건설사별 부채 내역 등을 공개하지 않으면 지원 방안을 마련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중소 건설 업체는 물론 중견 업체들도 지난 몇 년간 PF 대출 과정에서 은행뿐만 아니라 저축은행 등 2금융권으로부터 상당한 금액의 돈을 빌려 썼다. TFT 운영에 관여하는 은행연합회의 한 관계자는 “저축은행 등 2금융권이 건설 업체별 부동산 여신 규모에 대해 ‘영업비밀’이라며 공개를 거부하고 있다”며 “2금융권의 부채 규모를 파악하지 못하면 신규 자금 지원은 물론 기존 대출 만기 연장 등에 대해서도 합의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은행권은 2금융권을 포함한 건설사의 전체적인 부채 규모를 파악하지 못한 채 은행만 신규 자금을 지원할 경우 이 자금이 금리가 훨씬 높은 2금융권 부채 상환을 위해 사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한편 무분별한 PF 대출을 막기 위한 PF 대출 모범 규준을 마련하기 위한 작업도 PF 대출 심사기준 등을 놓고 이해 당사자인 대한주택보증공사와의 이견을 좁히지 못해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한주택보증공사는 건설사 부도시 분양 계약자에 대한 계약금 및 중도금 보증 책임을 지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