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소주시장 진로 독주 속 롯데주류·무학 추격 시동

대선주조 인수 향방 따라 시장 판도 변화도 클듯



소주 소비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시장 지배력을 고수하려는 진로와 추격에 나선 롯데주류·무학의 싸움이 격해지고 있다. 롯데주류와 무학은 각각 서울·수도권과 부산·경남에서 시장 점유율이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특히 두 기업중 한 업체가 매물로 나온 대선주조를 거머쥘 경우 전체 소주시장의 변화는 더욱 빨라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진로 수성, 롯데주류·무학은 추격=9일 주류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10개 소주업체 가운데 1위인 진로가 총 5,343만상자 (한상자 360㎖ 30병)를 팔아 전체 출고량(군납용등 면세물량을 제외)의 48.9%를 차지했다. 지난 2008년 시장점유율 51.3%에 비해 다소 줄었지만 전년 48.8%보다는 0.1%포인트 늘었다. 지난해 궂은 날씨와 경쟁사들의 수도권 공략이 거셌던 점을 감안하면 참이슬 소주의 점유율 수성은 달성한 셈이다. 2위 롯데주류 출고량은 10%가까이 늘었다. 총 1,530만상자에 달해 시장점유율도 14%에 첫 진입했다. 2008년 11.1%에서 2009년 12.8%에 이어 매년 1%포인트 이상 높이고 있다. 롯데주류는 2006년 출시 된지 만 5년이 된 처음처음의 누적판매량이 18억병으로 하루평균 100만병, 초당 11병꼴로 팔렸다고 설명했다. 지방 소주업체들도 공격적이다. 무학은 시장점유율을 2009년 8.5%에서 지난해 9.7%로 단숨에 끌어올리며 금복주를 제치고 3위에 올랐다. 부산 지역소주인 대선주조 '시원'의 영역을 급속히 잠식한 결과다. 이 회사 마케팅사업부 관계자는 "저도주 '좋은데이'도 호조를 보이면서 부산지역에서 점유율이 절반에 달하는 것으로 내부적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선주조 인수따라 시장변화 가속=롯데의 추격은 서울경기지역에서 처음처럼의 판매호조가 결정적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한국주류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3월 서울경기권 소주 판매비중은 진로와 롯데주류가 각각 73.2%, 25.9%로 집계됐다. 롯데주류측은 현재 이 판매비중이 30%대까지 끌어올려져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서울 종로와 강남역 부근 유흥업소에서는 지난해 각각 58.0%, 54.0%의 점유율을 기록했다는 자체 분석결과도 내놨다. 이와 함께 점유율 40%대로 롯데주류의 아성인 강원지역과 함께 경남지역도 타깃으로 두고 있다. 다음달부터 진로의 소주와 하이트맥주의 영업통합이 본격화하면 진로와 롯데주류간 지방시장 다툼이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특히 롯데주류와 무학은 이르면 이달초 주인이 결정될 대선주조 인수후보자들이다. 두 업체 외에 부산 향토기업 비엔그룹-삼정 컨소시엄도 함께 뛰어들었다. 지역민심 등이 변수로 남아 있어 낙점을 낙관하기 어렵지만 인수가 성사될 경우 올해 소주시장 변화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강력한 인수후보자인 롯데가 인수할 경우 롯데주류 점유율 14%에 대선주조 5.9%가 더해져 총 20% 점유율 확보가 가능해진다. 진로와는 격차가 크지만 텃세가 강한 경남지역 진출 교두보 확보 차원에서 얻는 게 많다. 무학이 인수할 경우에는 총 점유율이 15.6%에 달해 롯데주류를 제치고 단숨에 2위로 치고 올라갈 수 있는 상황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