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반도체 과잉투자 우려

반도체 과잉투자 우려잇단 설비증설로 2002년 이후 과잉공급전망 세계 반도체 업계가 향후 1~2년간 대규모 설비투자를 계획하고 있어 2002년 이후 공급과잉이 우려된다. 전문가들은 세계 반도체 설비투자가 지난해 330억달러였으나 올해는 이보다 60%가 더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에 따라 설비투자로 인한 공급이 본격화되는 2002년에는 반도체 경기가 하락세로 돌아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최근 반도체 시장조사기관인 IC인사이츠에 따르면 올해 반도체 시장 매출 증가율은 40%정도 예상되나 내년에는 25~30%로 점차 감소세를 보이고 2002년에는 8~9%대로 둔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반도체 업체의 설비투자 규모에 따라서는 2002년 마이너스 성장을 보일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실제로 최근 반도체 경기 호황을 맞아 세계 유수의 반도체 업체들이 대폭적인 설비투자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인텔사는 향후 설비증설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최근 밝혔으며 일본의 NEC·미쓰비시·후지쓰·히타치·도시바 등 5대 생산업체들도 올 설비투자액을 9,000억엔 이상으로 잡고 있어 사상 최고를 기록할 전망이다. 대만업체들도 D램 및 비메모리 수탁생산(파운드리) 분야의 투자를 대폭 늘릴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와 현대전자등 국내 반도체업체들도 지난해에 비해 올해 설비투자를 늘릴 계획이다. 올해 삼성전자는 지난해 투자액 22억달러보다 약간 증가한 선에서 라인증설 및 업그레이드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현대전자도 지난해 거의 투자를 못했으나 올들어 반도체 시황이 좋아지면서 1조8,000억원 규모의 설비투자 계획을 세워두고 있다. 반도체산업협회의 한 관계자는 『반도체는 통상 3~4년을 주기로 호황과 불황이 반복되는 패턴을 보인다』며 『호황기에 들어서면 반도체 생산업체들이 낙관적인 전망아래 시설투자를 늘리게 돼 호황 2~3년 후에는 공급물량이 증가하기 시작한다』고 말했다. 즉 공급증가 속도가 수요 증가세를 초과하게 되면 불가피하게 활황세가 꺾이게 되는 게 일반적인 반도체경기 순환사이클이라는 설명이다. 현재로서는 최소한 내년말 까지는 반도체 호황이 지속될 것이나 2002년 이후에는 공급물량 증가에 따라 활황세가 둔화될 가능성이 많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앞으로의 반도체 시황은 생산업체들이 얼마나 적정선의 설비투자를 유지해 나가느냐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다. 적절한 설비확대는 반도체 수급을 안정시킬 수 있지만 과다한 설비투자는 장기적으로 공급과잉을 초래해 불황을 불러올 것이란 게 지난 95년 이후 3년간 반도체 불황기의 교훈이다. 강동호기자EASTERN@SED.CO.KR 입력시간 2000/07/07 19:00 ◀ 이전화면

관련기사



강동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