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수능 9등급제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올해도 수험생들은 수능 9등급제에 따른 자신의 등급을 지원대학에 제출, 지원자격기준 또는 최종합격기준 통과여부를 판정 받게 된다.수험생들이 유념할 것은 수능 등급은 수험생들이 수능직후 당장 알 수 있는 원점수 기준이 아니라 전체 수험생들의 성적을 감안한 변환표준점수 기준으로 다음달 2일 성적표 개별통지 때 알 수 있다. 수능 9등급제에 따라 수험생별 성적표에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5개영역 총점이 기재되지 않고 언어, 수리, 사회탐구, 과학탐구, 외국어 등 5개 영역과 선택과목인 제2외국어의 영역별 등급, 전체 영역의 종합 등급만 표시된다. 등급은 계열별 변환표준점수 기준으로 상위 4%가 1등급, 다음 7%(누적 11%)가 2등급, 12%(누적 23%) 3등급, 17%(누적 40%) 4등급, 20%(누적 60%) 5등급, 17%(누적 77%) 6등급, 12%(누적 89%) 7등급, 7%(누적 96%) 8등급, 4%(누적 100%) 9등급으로 매겨진다. 각 등급간 경계점에 있는 동점자는 상위등급으로 기재된다. 한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지난 9월3일 실시한 고3학력평가 결과 인문계 1등급 하한선은 348.17점, 2등급 326.10점, 3등급 302.65점, 4등급 278.23점 등이었다. 자연계의 경우 1등급이 358.89점, 2등급 341.16점, 3등급 319.16점, 4등급 292.65점 등이었다. 한영일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