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퇴출후보' 88명 선정

2차 '현장지원단' 재교육후 복귀여부 결정<br>올핸 강제할당 않고 드래프트 통해 선별<br>"경쟁력 높이기등 新인사시스템 정착 기대"


공무원 사회의 인사 태풍을 몰고 온 서울시‘현장시장 지원단’의 2차 대상자가 결정됐다. 지난해에 이은 시의 이번 조치는 성과중심의 초고속 승진과 함께 재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공무원의 경쟁력 제고 등 신(新)인사 시스템을 정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평가된다. 서울시는 ‘무능ㆍ불성실 공직자’를 선별, 재교육을 실시한 뒤 퇴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2차 현장시정지원단’대상자 88명을 확정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현재 서울시 공무원 9,844명의 0.9% 규모로, 지난해 첫 지원단(102명)보다 14명이 줄어든 수치다. 시는 이들을 대상으로 24일부터 6개월 간 산업체 근로체험 등 현장체험, 자원봉사활동 등 강도 높은 재교육을 실시한 뒤 그 결과에 따라 업무복귀나 직무 배제 등의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선정은 어떻게?= 지난해 실ㆍ국별 현원 3%를 강제 할당한 것과 달리 이번에는 세 분야로 나눠 선정했다. 시는 ▦상시기록평가와 근무성적 평정제도 등 인사평가시스템에 따라 선발한 경우(57명) ▦비위행위 징계처분자 등 감사자료에 의한 경우(15명) ▦6급 이상 4,200여명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드래프트 실시 후 잔류자 선정(16명) 등을 통해 최종 대상자를 추렸다고 설명했다. 재교육 프로그램도 의식 개선과 근무 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춰 대폭 개편했다. 지난해 실시한 시민공원 풀 뽑기 등은 공무원의 품위와 자존심만 손상시킨 채 의도한 자기변화 효과는 미미했다는 판단에서다. 시는 이에 따라 태도변화와 극기력 향상을 위한 국토종단 도보순례와 명상훈련 등 3주간의 자기탐구훈련을 신설했다. 또 정서 함양을 위한 전문가 심리상담과 자기계발 노력을 증명할 수 있는 자격증 취득, 50시간의 자원봉사 활동 프로그램을 새로 추가했다. ◇경쟁력 제고는 시대적 흐름= ‘공무원 줄 세우기’라는 일부 반발에도 불구하고 시는 이번 조치가 ‘일하는 조직’으로 재탄생 시키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는 시각이다. 최항도 행정국장은 “현장시정 지원단이 정착돼 가고 있고 불친절ㆍ무사안일 사례가 급격히 줄어드는 등 공무원들의 태도가 눈에 띄게 달라졌다”며 “재교육 프로그램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장기적으로 인재개발원에 이 프로그램을 이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개혁조치는 일부 자치구로도 확산되고 있다. 서울 중구는 이달 말부터 무사안일 또는 불친절 직원을 ‘현장업무처리 추진반’ 에 배치해 3개월마다 평가하고 3회 이상 부적격자로 판정 나면 직권면직 등의 인사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강남구도 지난달 3차례 이상 ‘불친절 신고’가 접수된 직원에 대해 3개월간 주ㆍ정차 단속 등 현장 업무를 시키는 ‘구정현안업무 추진단’ 제도를 도입했다. 시는 구청이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교육 대행 등을 요청하면 지원해 줄 방침이다. 한편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서울시청지부 노조원들은 이날 시청 앞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강제 퇴출제 도입 본질은 상시적 구조조정의 제도화이며 현대판 노예제도의 부활”이라며 현장시정지원단 철회를 촉구했다. 이들은 2차 현장시정지원단 선정에 대한 항의의 표시로 삭발식을 진행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