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이집트 군부 "포스트 무바라크 체제로"

무바라크·측근 부패 혐의 전방위 조사<br>고용창출 역점 경기부양 추진도 본격화<br>공공 근로자들은 파업…정국새변수로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을 권좌에서 끌어내리며 민주화 혁명에 성공한 이집트가 군부를 주축으로 본격적으로 포스트 무바라크 체제 다지기에 돌입했다. 이집트 군부가 12일(현지시간) 현 의회를 전격 해산하고 헌법 효력을 중지시키는 정치개혁에 착수한 가운데 검찰은 부패로 얼룩진 무바라크 정권에 대한 전방위 조사에 들어갔다. 또 이집트 과도 정부는 시위로 쑥대밭이 된 자국 경제를 복구하기 위해 경기부양책을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하지만 저임금과 열악한 근로 조건에 시달려온 이집트 공공부문 근로자들이 파업에 돌입, 일상 복귀를 촉구하는 군부와 대립 각을 다시 세울 조짐을 보이면서 이집트 정국에 또 다른 변수가 될 전망이다. 13일(현지시간) 이집트는 군 최고위원회와 과도내각 정부 주도로 무바라크 대통령과 측근들에 대한 비리와 부패 혐의 수사에 들어갔다. 무바라크 일가의 부정 재산 축재에 대한 검찰 수사를 촉구해 온 이브라힘 유스리 전 이집트 외무장관은 14일 법무장관을 만나 관련 증거들을 함께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무바라크의 총 은닉 재산 규모는 해외 부동산과 국영기업 민영화 대가로 재계로부터 받은 비자금 등을 합쳐 총 700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밖에 무바라크 정권하에서 충실한 심복 노릇을 해온 아흐메드 나지프 전 총리와 아나스 알-피키 공보장관, 내무장관을 지낸 하비브 알 -아들리 등 전직 각료 3명에 대해서도 검찰의 수사가 진행중이다. 이들은 무바라크 대통령 아들 가말의 최측근으로 역시 재계와 유착해 부정부패를 일삼은 혐의를 받고 있다. 이집트 정부는 고용창출에 역점을 둔 경기부양책도 본격 추진할 방침이다. 사미르 라드완 이집트 재무장관은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사회 불안정을 막기 위한 고용 관련 경기 부양책이 필요하다"며 대규모 재정지출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통신은 이집트 정부가 정국 불안을 이유로 자국에 투자를 꺼리는 국내 및 해외 기업들에 대한 보상책도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민주화 달성이라는 목표를 완수한 시위대는 오는 18일 무바라크 대통령의 퇴진을 기념하는 '승리의 행진'을 진행할 예정이다. 하지만 시위혁명 성공에도 불구하고 저임금과 근로 조건 개선을 요구하는 공공 부문 근로자들이 일제히 집단 행동에 이어가면서 이집트 정국이 다시 폭풍에 휩싸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군 최고위원회가 일부 시위대와 파업을 벌이고 있는 공공 근로자들을 견제, 혼란과 무질서를 조장하는 세력을 좌시하지 않겠다는 입장이어서 무바라크 대통령 퇴진으로 일단락 됐던 이집트 시위 물결이 다시 번질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14일 국영은행인 이집트국민은행(NBE) 본점 직원들이 근로조건 개선을 요구하며 파업에 돌입하자 이집트 중앙은행이 전국 은행을 대상으로 휴무를 지시했다. 앞서 13일에도 카이로 국영기관과 알렉산드리아 항구 등에서 일하는 공공근로자들이 자신들이 속한 수장들의 사퇴를 요구하며 파업에 나섰고 경찰관 수백 명도 임금 인상과 처우 개선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였다. AP통신은 "철도, 우체국, 철강 등을 포함하는 이집트의 공공 사업부문이 그 동안 저임금과 고용불안 등으로 근로자들의 원성을 사온 만큼 파업이 확장될 수 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