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국내 휴대폰 시장 빗장 풀린다

아이폰 국내 도입 가능해져<br>휴대폰시장 지각변동 예고<br>외산단말기 진입 가속화<br>소비자 선택폭 넓어질듯

국내 휴대폰 시장 빗장 풀린다 방통위 '위피' 의무화 내년 4월 폐지외산단말기 진입 가속화…소비자 선택폭 넓어질듯 송영규 기자 skong@sed.co.kr 국내 휴대폰 시장의 빗장 역할을 하던 한국형 무선인터넷 소프트웨어 ‘위피’ 의무화 정책이 내년 4월부터 폐지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10일 전체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전기통신설비의 상호접속기준’ 고시개정안을 심의 의결했다. 이에 따라 애플의 아이폰이나 노키아폰, 구글의 안드로이드폰 같은 다양한 외산 단말기가 아무 제약 없이 국내 시장에 들어올 수 있게 돼 휴대폰 시장의 지각변동은 물론 단말 경쟁도 한층 치열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위피 의무화 폐지되면 우선 소비자들의 단말 선택권이 커지게 된다. 애플의 아이폰이나 노키아폰, 구글의 안드로이드폰 등 전 세계적으로 쓰이고 있는 단말기를 국내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기 때문이다. 특히 국내 이통사들이 가입자 확대와 단말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외산 단말기 도입에 적극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선택권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이통사의 한 관계자는 “위피 의무화 폐지로 외산 단말기 도입을 위한 장벽이 없어지기 때문에 내년 4월부터는 아이폰처럼 특화된 단말기나 저가폰을 중심으로 시장 진입이 추진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휴대폰 제조업체들의 경쟁도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와 LG전자 같은 국내 휴대폰 업체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했던 시장 진입장벽이 사라지고 위피를 탑재하지 않고 범용 모바일 OS만 지닌 해외 단말기도 국내 시장에 들어올 수 있어서다. 결국 국내시장도 다른 국가와 마찬가지로 똑 같은 조건의 무한경쟁 시대에 돌입할 수 밖에 없게 된 것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국내 시장의 규모가 그리 크지 않고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이미 확고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어 영향이 그리 크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내놓고 있다. 조영훈 방통위 통신이용제도과장은 “위피 의무화가 폐지될 경우 외산 단말기의 점유율은 올라갈 수 있을 것”이라며 “하지만 국내 휴대폰 업체들이 세계적인 수준이기 때문에 크게 증가할 것이라고 보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