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당·청, 개각폭 놓고 미묘한 온도차

與일각 韓총리 유임·2~3명 교체설 고개에<br>정몽준·허태열등 "전면적 쇄신 필요" 목소리<br>靑선 "소폭 개편" 무게속 공식 언급은 자제

이명박(왼쪽) 대통령이 23일 청와대에서 정정길 대통령실장에게 임명장을 준 뒤 악수하고 있다./손용석기자

청와대와 한나라당이 인적쇄신 2단계인 개각의 방향과 폭을 놓고 미묘한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쇠고기 추가 협상 발표 이후 여론이 다소나마 호전될 기미를 보이면서 총리 유임론, 경제부처 장관 교체 폭 최소화 등의 기류가 여권내 일각에서 다시 고개를 들자 당쪽에서 ‘전면 개각’을 주장하는 강경론이 부상하고있다. 특히 개각의 핵심인 한승수 총리까지 교체하는 대폭적인 개각 쪽으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차기 당 대표 유력 후보인 정몽준 최고위원은 23일 MBC 라디오에 출연, “중ㆍ소폭 개각은 어감이 별로 좋지 않다”면서 “거국내각이란 기분이 들게 했으면 좋겠다”며 민심을 반영한 전면 개각을 강조했다. 당권에 도전한 허태열 의원은 평화방송에 출연, 2∼3명 장관 소폭 교체설이 흘러나오는데 대해 “그런 게 문제를 일으킬 것이다. 쇠고기 문제가 진정되면 또 옛날 식으로 돌아간다면 대통령이 사과한 것에 의심을 갖게 되고 민심을 다시 찾기 어려울 것”이라며 “내각도 전면적인 쇄신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제관련 부처 장관들의 거취와 관련, 국정 난맥상을 초래한 책임론과 맞물려 유임과 교체 의견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원내 핵심 관계자는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을 비롯해 경제부처 장관들을 교체해야 한다는 입장과 연말에 개각 요인이 있는 데 지금 교체하는 것은 시기적으로 부적절하다는 의견이 팽팽히 맞서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청와대는 일단 개각의 폭에 대해 공식 언급을 삼가며 극도로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 대통령이 특별기자회견에서 “자주 바꾸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피력한 만큼 특별한 상황 악화가 없는 한 소폭 개편이 되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나오고있다. 다만 개각 시기는 국정공백 우려를 감안해 18대 국회 개원 이후가 돼야 한다고 대체로 공감하고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