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캠코, 쌍용건설 관리 손 뗀다

보유지분 채권銀 이관 추진

자산관리공사(캠코)가 쌍용건설 관리에서 손을 뗀다. 보유지분은 채권은행 등에 넘기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워크아웃설마저 나도는 상황에서 캠코의 지분을 여러 금융사가 나눠 갖게 되면 주요 지분 매각을 통한 쌍용건설 정상화는 더 힘들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지분을 가지고 있던 캠코도 지난 2007년부터 쌍용건설 매각을 추진해왔지만 번번이 실패했다.

정부의 한 핵심관계자는 13일 "(오는 22일) 부실채권정리기금이 청산되더라도 쌍용건설 지분은 정부가 받을 수 없다"며 "신한이나 우리은행 같은 은행들이 나눠 가지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캠코도 기금에 있던 것을 고유계정 등으로 사는 것은 안 된다"고 덧붙였다.


쌍용건설 1대주주(38.75%)인 캠코가 쌍용건설 지분을 넘길 수 있는 것은 주식의 소유주가 정확히는 부실채권정리기금이기 때문이다. 기금은 공적자금이 약 86%, 은행을 포함한 금융사가 14%의 자금을 댔다. 지난해 기준 기금 잔여자산은 1조원가량인데 이 중 14%는 금융사 몫이다. 이를 나눠 가질 때 쌍용건설 주식을 넘기겠다는 의미다.

캠코 고위관계자는 "은행 등에 쌍용건설 지분을 넘기는 것은 공적자금관리위원회가 결정할 사안"이라면서도 기금 잔여자산 배분시 쌍용건설 주식을 은행에 나눠주는 방향은 "맞는 것"이라고 말했다.


쌍용건설은 이와 관련, 14일 일부 자본잠식이 진행됐다고 공시할 예정이다. 채권단 출자전환 같은 지원이 절실한 상황에서 캠코 지분마저 은행권으로 넘어가게 되면 의존도가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업계의 한 관계자는 "14일 자본잠식이 공개되면 쌍용건설 회생작업은 출자전환 없이는 사실상 불가능해진다"며 "채권단의 역할이 갈수록 중요해질 것"이라고 전했다.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