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수도권 상가 경매 활기

아파트 대안투자로 각광 투자자 몰려<br>낙찰률·낙찰가율 크게 올라<br>큰손들 일괄매수도 잇달아


수도권 상가에 투자자들이 몰리고 있다. 큰손 투자자들도 상가 경매시장을 기웃거린다. 상가 경매 낙찰률ㆍ낙찰가율이 고공행진을 기록 중이다. 큰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는 아파트 경매 낙찰률ㆍ낙찰가율과 대조적이다. 아파트 시장 침체에 따른 대안 투자로 각광 받고 있는 것이다. 부동산 경매전문업체 '지지옥션'은 9일 "10월 수도권 상업시설 낙찰률은 27.8%로 올해 최고치를 기록했다"며 "낙찰가율도 65.8%로 지난 9월 70%에 이어 올 들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고 밝혔다. 큰손에 의한 상가 일괄 매수가 줄을 잇고 있다. 인천 남구 주안동 아이존쇼핑몰 내 상가 47개는 감정가의 40%에 한 자산운용사에 일괄 매각됐다. 서울 강남 근린상가도 큰손들의 관심 투자물건이다. 10월4일 지하 3층, 지상 7층 규모 감정가 120억원 상당의 서울철강빌딩이 감정가의 101%인 121억원에 낙찰됐다. 서울 강동구 둔촌동 4층 근린상가도 감정가의 79%인 28억원에 팔렸다. 경기도 고양 일산 '조은프라자'상가 32개와 샘터 빌딩 상가 38개도 모두 매각된 것으로 조사됐다. 상가 경매가 활발한 것은 수도권 아파트 시장 침체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수도권 아파트 낙찰가율은 79.2%로 7월 이후 4개월 연속 80% 아래에 머물렀다. 전문가들은 상가 경매 입찰시 '시세차익'을 노리고 접근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남승표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상업시설 투자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수익률이기 때문에 시세차익을 노리고 접근하는 방식은 위험하다"며 "근린상가와 같이 고가의 투자물건에 대해서는 주변 상가들의 임대수요를 감안해 공실률 분석 등 철저한 상권 분석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