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장마철 현장 수방대책 있으나마나

■ 노량진 공사장 수몰사고<br>댐 방류량ㆍ한강수위 따른 철수지침 제대로 안지켜<br>안전관리 소홀한 서울시도 책임 피해갈 수 없을듯

서울 노량진 상수도 공사장에 한강물이 덮쳐 7명이 숨지거나 실종된 가운데 팔당댐 방류량과 수위에 따라 공사장에서 철수해야 한다는 현장수방계획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사 관계자들은 하나같이 '철수하라고 했다' '빠져나올 줄 알았다'며 책임 회피에 급급했지만 어느 누구도 인부들의 실제 철수 여부를 확인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16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15일 오후5시께 서울 동작구 본동 258-1번지 일대 올림픽대로 상수도관 부설공사현장에 물이 넘쳐 인부 1명이 숨지고 6명이 실종돼 소방 당국과 서울시가 구조작업을 벌이고 있다. 사고 발생 직후 소방 당국은 대원 116명과 펌프 6대를 투입해 물을 빼냈지만 강물이 계속 들어와 구조작업을 바로 시작하지 못했다. 16일 오전부터 공사현장 주변에 'ㄷ'자 모양의 물막이 공사를 하고 추가적인 한강물 유입을 막은 채 배수작업 벌인 뒤에야 잠수부를 투입해 실종자 수색에 나섰다.

팔당댐 방류량과 한강 수위 등을 고려해 공사현장의 인부들은 즉각 철수해야 한다는 수방계획이 지난 5월 각 공사장에 전달됐지만 공사현장과 감리 책임자들은 이를 알면서도 안이하게 대처한 것으로 드러났다.


시공사 측 현장소장은 이날 열린 현장 브리핑에서 "(자사) 공사팀장으로부터 사고일 오후4시13분 현장 범람위기 사진을 받아 바로 작업중단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소장은 공사팀장이 현장작업을 진행 중인 하도급업체에까지 작업중단 사실을 알렸는지에 대해서는 알지 못한다고 말을 흐렸다. 이에 대해 하도급업체는 "철수 지시를 받은 적이 없다"고 부인해 진실 공방이 벌어지고 있다.

관련기사



감리사 측 책임자 역시 "현장에 갔을 때는 물이 넘치기까지 높이가 1m가량 남아 있었기 때문에 (근로자들이) 빠져나올 줄 알았다"고 말해 아무런 사전조치가 없었음을 인정했다.

한강물이 불어날 경우 인부들이 위험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해 공사 관계자들 모두 알고 있었지만 소극적으로 대처하면서 애꿎은 7명이 희생을 당한 전형적인 인재(人災)인 셈이다.

이번 사고의 1차 책임은 시공사와 감리회사에 있겠지만 공사를 발주한 서울시도 책임을 피해갈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상수도본부는 사고 당일 오전에만 감리회사에 안전관리를 철저히 할 것을 지시했을 뿐 이후 상황에 대해서는 손을 놓았다. 또 한강홍수통제소가 서울시와 25개 자치구에 한강 수위상황을 실시간으로 문자와 팩스로 전달하지만 공사장 등 소규모 현장까지 전달되는 데는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도 발견됐다.

정연찬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은 "현장에 사고대책본부를 차리고 사태를 수습하는 한편 진상조사와 책임 규명도 병행하겠다"고 말했다.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