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첨단산업의 창업/임충규 기협중앙회 조사이사(여의도 칼럼)

지방자치제가 실시되면서 지역경제 활성화에 촛점을 맞춘 갖가지 방안이 마련되고 있다.지방자체장은 스스로 비지니스 세일즈에 앞장서 국내는 물론 해외멀리까지 기업유치를 위해 종횡으로 누비는 경우가 많다. 내륙도시인 충주시는 10년간 계획으로 과학산업단지 조성을 추진중이다. 2백여만평 규모로 산업·연구·상업·주거기능을 고루 갖춘 복합 신도시를 연차적으로 건설한다는 청사진이다. 유치기업은 첨단산업분야이다. 이러한 계획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벤쳐기업의 창업이 활발해야 한다. 젊고 패기있는 창업인이 쏟아져 나와야 한다. 이를테면 기업의 기술현장에서 쌓은 경험이든 연구기관의 개발팀에서 연마한 기술이든 이공계 대학생이든 과감하게 뛰쳐나와 탈샐러리맨으로서 창업을 시도하는 것이다. 그러나 창업을 부추기고 바른 기업으로 성공시키려면 그에 상응하는 경제적 환경과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 가령 참신한 아이디어로 시제품을 개발하여도 수년동안 쏟아부은 개발비로 인해 정작 사업화의 문턱에서 성공하지 못하는 예가 비일비재하기 때문이다. 시험연구, 개발과정에서 시제품등 창업 전단계에 이르기까지 내 사업처럼 적극 지원하는 외국의 예를 볼때 부럽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우리는 기술은 있으되 자금이 부족한 창업자를 위해 최소한 기술담보제는 시행되어야 한다. 또한 창투사나 벤쳐캐피틀은 융자 또는 조건부 융자에 앞서 투자원칙을 실천해야 한다. 아울러 이들 회사에 대해서는 「리스크」를 강요할 수 없으므로 재정에서 창업자금을 대폭 늘려 창투사 몫의 융자배분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미국은 경제가 활성화되면서 첨단업종을 중심으로 한 창업이 붐을 이루고 있다. 한해 70여만개의 기업이 탄생하는데 대부분 제조업으로서 첨단산업에 집중되어 있다. 한때 수입품에 의존하며 미국의 경제를 위태롭게 하던 제조업의 공동화 현상은 첨단분야의 창업으로 「산업의 재편」을 예고하고 있다. 고비용으로 신음하는 우리 기업들이 해외로 탈출하며, 우려를 자아내는 제조업의 공동화현상도 미국의 예를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미래산업사회는 정보화, 두뇌 또는 지식산업사회라 한다. 앨빈 토플러의 미래산업사회는 반드시 가계 또는 중소기업의 시대가 도래한다고 하는 뜻을 깊이 음미해 볼 필요가 있다.

관련기사



임충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