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2분기 성장률 3.3%…저성장세 지속

민간소비 2.7% 증가…10분기만에 최고 <br>수출 증가율 6.1% 그쳐..2분기째 한자릿수 추락

2분기 성장률 3.3%…저성장세 지속 민간소비 2.7% 증가…10분기만에 최고 수출 증가율 6.1% 그쳐..2분기째 한자릿수 추락 관련기사 • 한은 "하반기부터 완만한 회복세 보일 것" 올해 2.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3.3%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4분기 성장률(2.7%)보다는 높지만 여전히 우리 경제의 저성장세가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민간소비는 점차 회복돼 10분기만에 최고 성장률을 보였으나 수출은 전분기보다더 떨어져 2분기 연속 한자릿수 증가율에 머물렀다.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에 따르면 2.4분기 실질 GDP는 3.3% 성장, 이달 초 한은이 수정전망했던 3.2%보다 0.1%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반기 성장률은 수정전망치인 3.0%와 일치했다. 계절변동조정 실질 GDP는 전기 대비 1.2% 증가해 전분기의 0.4%를 크게 상회했다. 민간소비는 의류 등 준내구재가 증가세로 전환된데다 자동차, 컴퓨터 등 내구재와 오락, 문화 등을 중심으로 한 서비스지출의 증가폭도 늘면서 전년동기대비 2.7%증가했다. 이는 2002년 4.4분기의 5.5% 이후 10분기만에 최고다. 건설투자는 주거용 건물투자가 증가로 전환되고 토목건설도 전분기의 증가세를유지하면서 1.8%증가, 2분기 연속된 마이너스 성장에서 벗어났다. 그러나 설비투자는 정밀기기, 전기전자기기 등 기계류 투자는 증가했으나 반도체 제조용장비, 선박, 항공기 등의 투자가 부진했던 영향으로 2.8% 증가에 그쳐 전분기의 3.1%에 못미쳤다. 재화수출(물량기준)도 자동차, 반도체, 통신기기 등의 수출이 늘어난 영향으로전년동기 대비 6.1% 증가했으나 전분기의 8.1%에 못미쳤다. 재화수출 증가율은 2002년 2.4분기에 16.7%를 기록한 것을 시작으로 11분기 연속 두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으나 올 1.4분기에 이어 2분기 연속 한자릿수 증가율에그쳤다. 한국은행은 내수의 GDP성장기여율은 전분기의 34.6%에서 84.5%로 높아졌으나 수출의 성장기여율은 145.5%에서 81.5%로 하락했다고 분석했다. 경제활동별로는 제조업은 섬유, 목재 등이 부진했으나 반도체, 자동차 등의 생산이 늘어 전분기와 같은 5.3%의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건설업은 주거용건물 건설이증가로 전환되고 도로, 항만, 공항 등 토목건설도 증가한 영향으로 1.6% 증가, 전분기의 -3.0%에서 증가세로 반전됐다. 또 서비스업은 음식업이 감소했으나 금융보험업, 통신업,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업은 호조를 보이고 도소매업도 증가로 전환돼 2.4% 증가했다. 제조업의 GDP성장기여율은 전분기 56.5%에서 46.1%로, 서비스업은 39.5%에서 34.6%로 각각 하락한 반면 건설업의 성장기여율은 -6.6%에서 3.9%로 반전됐다.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고유가 등으로 교역조건이 악화되면서 0.2% 증가에 그쳐 2000년 4.4분기(0.2%)와 함께 1998년 4.4분기(-4.8%)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한은 김병화 경제통계국장은 "하반기부터 완만한 회복세가 될 것으로 전망되나고유가, 환율 등 변수가 있는데다 설비투자도 살아나지 않고 있어 강한 회복세를 기대하기는 이르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박성제 기자 입력시간 : 2005/07/26 10:31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