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적이 총을 쏜 위치 1초면 알아낸다

美 육군 '적 탄환감지기' 보급 개시<br>아프가니스탄 파병 병사에 이달말부터

빨간색 동그라미 부분이 '탄환감지기'

아프가니스탄에 파병된 미군 병사들에게 이달말부터 적이 쏜 총탄이 날아온 방향과 거리를 1초 안에 파악할 수 있는 탄환감지기(Individual Gunshot DetectorㆍIGD)가 지급된다. 미 육군은 이달말 아프가니스탄에 파병된 병사들에게 1차로 1만3,000개 이상의 탄환감지기를 지급하고 1년간 매달 1,500개를 보급할 계획이라고 최근 밝혔다. 탄환감지기에 장착된 4개의 작은 음향센서는 총격으로 생긴 초음파 파동을 감지, 적의 총구가 불을 뿜은지 1초 안에 병사에게 영상ㆍ음성 경고를 한다. 또 총탄이 날아온 방향과 거리, 다시 말해 적의 위치 데이터를 제공한다. 무게도 900g 정도밖에 안된다. 400m 넘는 거리까지 탐지할 수 있으며 오차범위는 10%(거리)ㆍ7.5도(방향) 이내다. 다만 이같은 서비스는 5.56mm, 7.62mm 총탄으로 제한된다. 키네틱 노스아메리카(QinetiQ North America)가 만든 이 탄환감지기는 IGD라고도 하며, 방탄복에 부착하게 돼있다. 앞면은 신용카드 크기며 소형 모니터와 십자가 모양의 5개 버튼이 달려 있다. 탐지기는 2개의 배터리(123 DL)로 구동된다. 이 프로그램 책임자인 피터 풀러 여단장은 “탄환감지기를 가진 우리 병사들은 적의 총격을 받았을 때 무슨 일이 일어났고, 총알이 어디서 날아왔는지 알기 위해 신경을 곤두세우지 않더라도 상황을 바로 파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서로 떨어져 있는 부대 간의 네트워크ㆍ상황인식 시스템은 헬멧 부착형 헤드업 디스플레이 화면에 GPS(인공위성을 이용한 위치확인시스템) 디지털 영상지도를 띄워 사용하는 형태로 완성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풀러 여단장은 또 “장차 탄환감지 기술을 랜드워리어(Land Warrior)ㆍ네트워리어(Nett Warrior) 시스템과 통합운영할 계획”이라며 “네트워킹을 통해 총탄이 어디서 날아왔는지 부대원들이 서로 알게 되면 생존ㆍ상황인식 능력이 증진되고, 부대를 소대ㆍ분대 등 소규모 단위로 분산시켜 기동케 함으로써 방어범위도 극대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네트워리어는 미 육군 지휘관과 아군ㆍ적군 군인들의 위치가 군용 헬멧에 부착된 핸즈프리ㆍ헤드업 디지털 디스플레이의 디지털 좌표(geo-referenced) 지도에 나타나고, 서로 떨어져 있는 아군끼리 보안성이 유지되는 전파로 교신할 수 있어 신속ㆍ정확한 전투상황 인식(Situational AwarenessㆍSA)과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지휘관의 메시지, 컴퓨터가 지원하는 병기의 시야 등도 디스플레이에 나타난다. 아군끼리 총격ㆍ포격하는 불상사를 막고 전투 임무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미 실전 배치된 랜드 워리어는 교신세트와 방탄 능력이 향상된 군복, 개량된 소총,야간 관측장치 등을 포괄하면서도 무게를 줄인 개인무장 세트의 성격이 강하며 네트워리어에 비해 네트워킹 단계가 상대적으로 낮다. 미 육군은 랜드워리어에 이어 네트워리어를 아프가니스탄에 실전배치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