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만 '나홀로' 실질금리 마이너스

물가상승률보다 명목금리 낮아 자산거품·자본왜곡 등 부작용 우려

명목금리가 소비자물가 상승률에도 못미치는 이른바 `실질금리 마이너스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나라는 한국이 유일한 것으로 파악됐다. 물가상승률을 밑돌 정도로 금리가 낮다는 것은 향후 경기전망이 어둡다는 것을시사하는 것으로, 이러한 실질금리 마이너스 현상이 계속될 경우 상당한 부작용이초래될 것으로 우려된다. 1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8월 3년만기 국고채 금리가 연 3%대로 추락한데비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8%를 나타내 실질금리가 처음으로 마이너스로 돌아섰으며 지난 11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콜금리를 연 3.25%로 인하함으로써 이러한 현상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실질금리는 명목금리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뺀 것으로, 실질금리가 마이너스라는 것은 금융기관에 돈을 예치해 이자를 챙기더라도 물가상승률을 반영하면 손해가 발생한다는 것을 뜻한다. 일본의 경우 지표금리가 연 1%대에 불과하지만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 8월까지 마이너스 행진을 계속해왔기 때문에 실질금리는 플러스 상태다. 미국은 올들어 2∼3%선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나타내는 가운데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저금리 정책으로 한때 실질금리 마이너스 상태를 나타내기도 했으나 7월 이후 FRB가 4차례에 걸쳐 금리인상을 단행, 기준금리를 연 2.00%로 끌어올림으로써 실질금리가 플러스로 돌아섰다. 영국과 프랑스, 독일 등 유럽의 주요국가들도 1∼2%대의 낮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보이는 가운데 명목금리가 연 4%대 안팎에서 유지되면서 예외없이 실질금리가플러스 상태를 보이고 있다. 중국은 지난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2%에 달했으나 기준금리는 연 5.31%였으며 10월말에는 기준금리가 5.58%로 0.27%포인트 상향조정된 바 있다. 대만과 홍콩, 싱가포르 등도 1∼2%대의 낮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보이는 가운데 명목금리는 물가상승률을 크게 웃돌고 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경제정책에 실패해 극심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후진국을제외하고는 실질금리가 마이너스인 국가는 사실상 한국이 유일하다"면서 "명목금리가 물가상승률에도 못미치는 현상이 지속되면 자금이 소비나 투자 등 실물부문으로옮아갈 가능성도 있지만 부동산 투기 등으로 흘러들어가 자산거품 현상이 초래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경제연구원의 배상근 박사는 "실질경제성장률에 물가상승률을 더한 것이 명목금리로 간주될 수 있으며 명목금리가 낮다는 것은 경기전망이 비관적임을 의미한다"면서 "바람직한 것은 적당한 인플레이션과 적당한 성장률을 유지하는 것"이라고지적했다. 배 박사는 이어 "실질금리 마이너스 상태가 계속되면 금융자산 보유계층이 자금운용을 기피하게 되고 부채보유자들은 `도덕적 해이(모럴헤저드)'에 빠지는 등 자본의 왜곡현상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박상현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