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軍 맞춤형 군복 확산

체형 측정 후 피복 지급

장병들의 맞춤형 군복이 군 내에서 확산되고 있어 과거 '군복에 몸을 맞추라'는 말이 자취를 감출 것으로 보인다. 5일 군 당국에 따르면 장병들의 신체 사이즈를 정교하게 측정해 몸에 꼭 맞는 피복을 지급하려는 움직임이 각 군으로 확산되고 있다. 가장 앞장서고 있는 곳은 공군. 공군은 장병들에게 꼭 맞는 피복을 지급하기 위해 '3D 아바타 구축사업'의 시범운영을 완료하고 올해 1월부터 본격적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모든 공군 장병들은 피복을 지급 받기 전에 자신과 동일한 치수를 가진 3D 아바타에 먼저 입혀보고 착용한 모습을 꼼꼼히 살펴볼 수 있게 됐다. 소매폭 여유나 허리위치 등을 조절해 개인별 체형의 특징도 반영할 수 있다. 공군의 한 관계자는 "병원에서 쓰는 자기공명영상(MRI) 촬영장비와 유사한 자동 체형측정기를 도입해 입대 장병의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고 있다"며 "시험운영 결과 장병들의 피복 만족도가 한층 높아졌다"고 말했다. 앞서 공군은 이 사업을 위해 지난해 2월 건국대 패션센터와 연구개발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연구에 착수했다. 하반기 들어서는 맞춤형 피복을 원하는 부대 장병들을 대상으로 표준화된 신체측정법으로 아바타를 생성해 시범 적용했다. 해병대도 동참하고 있다. 해병대는 이르면 올해 상반기 중 자동 체형측정기를 도입해 모든 입대 장병들의 신체 사이즈를 측정할 계획이다. 해병대의 한 관계자는 "체형측정기를 통과하면 자동으로 신체 사이즈와 체형이 측정되기 때문에 그에 맞는 군복을 지급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하체가 상대적으로 길거나 하체보다 상체가 발달한 장병 등 개인별 체형에 따라 상의와 하의 호수를 조정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육군의 경우 인터넷상에 장병들이 신체 사이즈를 입력하면 그에 맞는 피복 호수를 알려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입대 예정 장병들이 자신의 신장과 가슴ㆍ머리ㆍ허리 둘레 등을 입력하면 그에 맞는 전투복과 전투모 등의 호수를 알려줘 장병들이 편리하게 피복을 선택할 수 있게 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