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흑연감속로 재가동" 북한, 핵무기개발 가속

朴대통령 "안보상황 엄중"

북한은 2일 영변의 5㎿급 흑연감속로를 재가동할 것이라며 핵위협 수위를 높였다. 흑연감속로를 재가동하면 핵 연료봉에서 플루토늄 추출이 가능해져 북한의 핵무기 개발에도 속도가 붙게 된다. ★관련기사 5면

박근혜 대통령은 이날 새 정부 들어 첫 외교안보장관회의를 열고 “현재 우리의 안보상황이 매우 엄중하다”면서 “북한 도발시 강력하게 응징하는 것이 필수지만 그보다는 강력한 외교적ㆍ군사적 억지력을 통해 북한이 감히 도발할 생각을 갖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북한 원자력총국 대변인은 이날 조선중앙통신 기자와의 문답에서 “현존 핵시설들의 용도를 변경해나가기로 했다”며 “여기에는 우라늄 농축공장을 비롯한 영변의 모든 핵시설들과 2007년 10월 6자회담 합의에 따라 가동을 중지했던 5㎿ 흑연감속로를 재가동하는 조치도 포함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북한의 이번 조치는 2007년 6자회담 결과 나온 2ㆍ13합의와 10ㆍ3합의를 깨는 일이다.

북한은 또 “경제건설, 핵무력 건설이라는 병진노선에 따라 자립적 핵동력 공업을 발전시키는 조치의 하나로 이같이 결정했다”며 “핵무력은 질량적으로 확대 강화해야 할 중대한 과업”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박 대통령은 외교안보장관회의를 소집해 북한의 도발위협에 대한 대응방안을 다각도로 논의했다. 박 대통령은 “튼튼한 안보가 전제돼야 국민들이 생업에 전념할 수 있다”면서 “앞으로의 상황전개를 봐가며 오늘과 같은 외교안보장관회의나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수시로 개최해 대책을 수립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은 연일 고조되는 북한의 군사위협과 관련, 북한군 이동정보를 신속하게 수집하며 돌발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동해상에 최첨단 이동식 레이더기지 선박과 이지스 구축함 존매케인을 급파했다. 스텔스 전투기 F-22랩터와 B-2 스텔스 폭격기 등에 이은 것으로 미국은 최신예 무기를 한반도 주변에 잇따라 배치하고 있다.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