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다이어트' 나선 일본차

업무용 자동차 지원 없애고… 마케팅 비용 50% 줄이고 …

국내시장 주도권 獨에 뺏기자 몸집 줄여 실적 반전 승부수


일본차 브랜드들이 비용 절감을 통한 몸집 줄이기에 한창이다. 최근 수년 새 독일계 회사에 완전히 주도권을 빼앗긴 일본 브랜드들이 공격적인 신차 출시 외에 비용 절감 노력까지 기울이며 국내 시장에서의 반전을 노리고 있다.

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국닛산은 올해 흑자전환 규모확대 및 경비절감을 위해 최근 팀장과 차장급 직원들에게 제공하던 업무용 차량 지원을 폐지했다. 또 차량을 제공 받는 직원들의 사내 무료 주차도 없애고 15만원의 월 주차 이용료를 받고 있다.

고급 브랜드인 인피니티의 'Q50'의 판매호조에 더해 내부 비용을 줄여 경영개선을 이루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인피니티의 'Q50'의 1~9월 판매량은 1,807대(하이브리드 모델 포함)로 한국닛산 전체 판매량의 35%에 달할 정도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닛산 관계자는 "간발의 차로 적자에 머물렀던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Q50이 효자 모델 노릇을 하면서 흑자 전환이 무난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혼다코리아도 올해 판매관리비와 마케팅 비용을 각각 10%, 50%씩 줄이며 실적 회복을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다. 혼다코리아 관계자는 "당장 눈에 보이는 수익으로 직결된다고 볼 수 없는 마케팅 예산을 보수적으로 책정해 실적 반등을 노린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한국토요타 역시 최근 서울 서초구 성모병원 근처에 있던 서초전시장을 예술의전당 부근으로 이전하는 등 비용 절감 대열에 합류했다.

이처럼 일본차 회사들이 너도나도 경비절감 및 몸집 줄이기에 나서고 있는 것은 갈수록 시장을 넓히고 있는 독일차 브랜드에 대한 대응 성격이 짙다. 지난 2008년 당시만 해도 일본 브랜드의 국내 수입차 시장 점유율은 35%를 넘었으나 올 들어 11%대까지 쪼그라들었다. 반면 같은 기간 독일차 점유율은 42.1%에서 71.0%로 급증했다.

일본 수입차 업체들은 비용 절감을 토대로 4·4분기에는 공격적인 신차 출시를 통해 부활의 날개짓을 편다는 전략이다. 도요타의 고급 브랜드인 렉서스가 지난 6일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NX300h'를 출시한 것은 6번째 하이브리드차인 이 모델을 통해 친환경 수입차 시장에서 확실한 입지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이다.

한국닛산도 지난 9월 첫 디젤 SUV인 '캐시카이'를 선보이고 시장확대를 꾀하고 있다. 이 차는 출시 이후 3주 만에 사전예약 건수가 300대를 돌파하는 등 만만치 않은 판매실적을 과시하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