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KT '이사자격 제한' 정관 개정키로

"특정후보 사장 밀어주기" 비판속 정당성 논란 거세질듯

KT가 사장 선임 과정에서 불거진 이사 자격 제한과 관련해 논란이 일었던 정관 조항을 개정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번 조치로 특정 인사를 KT 신임 사장으로 앉히기 위해 정관까지 바꿨다는 비판이 제기되면서 정당성 논란은 더욱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KT는 25일 분당에서 이사회를 개최하고 경쟁관계에 있는 기업의 임직원 출신의 이사 자격을 제한한 정관 규정을 개정하기로 의결했다. 이에 따라 KT의 경쟁사나 그 그룹 계열사 임직원들도 사장 선임에 참여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사외이사의 경우에는 현재 KT의 지배구조에서 차지하는 역할과 비중을 고려해 기존의 이사 자격 제한 요건을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다. 이사회는 또 개정된 정관에 따라 추가 공모를 실시하되 이른 시간 내에 사장 후보 추천작업을 마무리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KT 사장추천위원회는 늦어도 오는 12월 초까지 사장 추천, 내년 1월 임시 주총을 통한 정관 개정과 사장 선임을 최종 승인 받는다는 계획이다. KT 이사회의 이번 조치는 이 조항을 그대로 적용할 경우 마땅한 사장 후보를 찾을 수 없다는 분석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KT 사장추천위원회에서 유력 후보로 부상했던 인물들은 모두 이 조항에 걸리게 된다. 이와 관련, KT는 “다양한 분야에서 경영경험을 갖춘 유능한 인재를 사장으로 선임하기 위해 개정이 필요했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이번 정관 개정으로 이석채 전 정보통신부 장관이 가장 유력한 후보로 재부상하고 있다. 이 전 장관은 사장 공모 직후 유력 후보로 떠오르다 경쟁그룹의 계열사인 SK C&C의 현직 사외이사라는 점이 드러나면서 주춤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이번 이사회 의결로 이러한 부담을 모두 덜게 됐다. 하지만 이번 의결로 KT의 사장 인선작업은 정당성 논란에 휩싸일 것으로 예상된다. 특정 후보를 사장으로 밀어주기 위해 정관 개정을 강행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힘들다는 지적이다. 특히 정관 개정 문제가 해당 후보의 자격 문제가 거론된 후 제기됐다는 점에서 이러한 논란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사회가 재공모가 아닌 추가 공모를 언급한 것 역시 이러한 것을 감안한 ‘구색 맞추기’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일고 있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이와 관련,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이번 결정으로 가장 득을 본 후보는 이 전 장관”이라며 “하지만 이로 인해 KT 사장을 둘러싼 논란은 더욱 거세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