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국의 정치家門과 대물림] <상> 아들·딸 유형

'부친 후광'이 정치적 자산이자 부담<br>박근혜, 친인척 선대 의원 8명<br>남경필·장제원·김세연의원 등<br>선친과 같은 지역구 출마 당선<br>폐쇄적 정치구조 형성 지적도


한국 정치의 1세대가 장막 뒤로 사라지고 이제 2세대가 등장했다. 아버지의 뒤를 이어 정치활동을 하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정치가문'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정치가문은 뿌리 깊은 정치유산을 계승할 수 있다는 장점과 폐쇄적인 정치구조가 형성된다는 단점이 공존한다. 일례로 일본은 부친의 지역구를 자식이 그대로 물려받을 수 있어 정치 대물림이 일상적이지만 곱게만 자란 '정치 프린스'들이 서민의 삶을 어떻게 이해하겠냐는 비판이 많다. 반면 미국 케네디가(家)는 미국인들에게 존경 받는 대표적 정치 명문가다. 한국의 경우 정치가문의 수는 늘어나고 있지만 '존경 받는' 정치 명문가는 아직 드물다. 서울경제신문은 앞으로 3회에 걸쳐 한국 정치가문의 정치적 승계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아들∙딸, 사위∙며느리, 형제∙부부 등 유형별로 나눠 분석한다. 7∙4 한나라당 전당대회 당권출마 후보들의 마지막 연설시간. 모두가 숨죽인 가운데 남경필 의원이 아버지 이야기를 꺼냈다. "이곳에 아버님을 추억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저는 타고난 한나라당입니다. 한나라당의 아들입니다." 남 의원의 아버지는 신한국당 국회의원이었던 고 남평우 전 의원이다. 이날 발언은 대의원들에게 향수를 불러일으키면서 자연스럽게 남 의원이 가진 정통성을 인식시켰다. 남 의원이 강조했듯이 부친의 뒤를 이은 정치인들의 가장 큰 특징은 정통성이다. 2세 정치인은 선대에서부터 이어진 정치활동과 가풍을 그대로 물려받을 수 있다. 이는 다른 정치인들에 비해 여의도 입성에 상대적으로 유리하다는 강점으로 나타난다. 현행법상 선대의 지역구를 그대로 물려받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같은 지역구에 출마했을 때 부친의 조직력과 자금ㆍ지지도가 후대로 이어지곤 한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는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다. 아버지인 고 박정희 전 대통령을 비롯해 외삼촌인 고 육인수 의원 등 친인척 선대 의원이 8명에 이르는 한국의 대표적 정치가문이다. 박 전 대표는 지난 1974년 고 육영수 여사가 피살된 뒤부터 퍼스트레이디 역할을 하며 정치감각을 익혔다. 아울러 박 전 대통령에게 향수를 느끼는 전통 지지세력 덕에 대선주자 가운데 가장 탄탄한 조직력을 자랑한다. 이에 대해 박 전 대표의 대변인격인 이정현 의원은 "박 전 대통령이 정치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워낙 크기 때문에 한국 정치를 이야기하면서 함께 박 전 대통령이 거론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라며 "다만 박 전 대표는 스스로 이를 앞세워 정치이득을 취한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부친의 지역구에서 출마해 여의도 입성에 성공한 경우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남 최고위원의 경우 남 전 의원이 15대 임기 중 사망하자 보궐선거에서 아버지의 지역구인 수원시 팔달구에 출마해 당선됐다. 남 최고위원은 현재 이 지역에서 4선을 연임하고 있다. 유승민 한나라당 최고위원과 김성곤 민주당 의원 역시 부친의 지역구를 기반으로 정계에 입문한 재선의원이다. 유 최고위원은 지역구는 다르지만 13, 14대 의원이었던 유수호 전 의원과 같은 대구 지역에서 재선에 성공했다. 김 의원은 8, 9대 의원이었던 고 김상영 전 의원의 지역구인 전남 여수에 출마해 당선됐다. 초선 의원 가운데는 장제원 한나라당 의원이 아버지인 장성만 전 국회부의장의 지역구(부산 사상구)에서 당시 3선의 권철현 의원을 제치고 승리했다. 김세연 한나라당 의원도 고 김진재 의원의 지역구(부산 금정구)에서 선친을 지지하던 유권자들의 지지에 힘입어 금배지를 달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