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나라·민주 민생활동은 "여론 의식한 요식행위"

양당 대책단 구성만 해놓고 현장방문등 활동 거의 안해<br> 일부 의원들은 소속도 몰라

한나라·민주 민생활동은 "여론 의식한 요식행위" 양당 대책단 구성만 해놓고 현장방문등 활동 거의 안해 일부 의원들은 소속도 몰라 권대경 기자 kwon@sed.co.kr 여야 정치권의 민생활동이 여론을 의식한 ‘요식행위’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나라당은 지난 20일 ‘국민생활현장 실태 파악 및 대책활동단(이하 국민생활활동단)’을 구성해 오는 30일까지 활동할 예정이다. 통합민주당도 한달여 전에 국민주권민생안정비상시국회의를 구성했다. 한나라당 국민생활활동단은 4개 대책단에 154명의 의원들의 이름이 올라와 있다. 하지만 대책단에 소속된 많은 의원들이 1~2곳의 현장을 방문했을 뿐 다른 활동은 하지 않고 있다. 심지어 상당수 의원들은 거의 활동을 하지 않았다. 한 대책단의 경우 총 54명 중 27명이 현장탐방 계획에서 제외돼 있다. 특히 이들은 원내 정책국에서 정해준 대책단내에서 어느 팀에 소속되어 있는지조차 모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 초선 의원실 관계자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해당 의원의 대책수립팀 소속 여부 확인에 “처음 듣는다”며 “아마 당 정책실에서 임의로 나눈 것 같다”고 답변했다. 현장 방문 출석률도 매우 낮다. 이날 한 대책위의 현장 방문길에는 대책단 7명의 소위 의원 중 3명이 함께했으며 다른 대책위는 8명 중 4명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16명으로 구성된 다른 대책위는 27일 예정된 현장탐방 참가자를 6명으로 예상하고 있다. 민주당의 시국회의도 17대 국회 때 정책을 재탕ㆍ삼탕한 경우가 빈번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또 시국회의 산하에 교육, 부동산, 의료ㆍ공공서비스, 통일, 쇠고기, 고유가ㆍ고물가 등의 대책본부를 두고 국회 상임위처럼 운영하고 있지만 배정 의원 일부는 해당 분야에 전혀 문외한인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의 한 당직자는 “솔직히 시국회의는 우리 당이 개원 협상을 하지 않아 국회가 원 구성도 못하고 있다는 비판을 의식해 만든 측면이 있다”며 “대책본부별 정책자료도 급하게 만들다 보니 기존 자료를 참고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