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남북정상회담] 왜 또 평양인가

신변안전 확신못해 北 '답방' 꺼리자<br>靑 "장소가리지 않겠다" 양보로 성사

오는 28일로 예정된 2차 남북 정상회담이 또 평양에서 개최되는 데 대해 의혹과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은 지난 2000년 평양을 방문한 김대중 전 대통령과 첫 정상회담을 갖고 남측을 답방, 다음 정상회담을 갖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또다시 정상회담 개최지가 평양으로 결정된 것과 관련, 일각에서는 ‘구걸회담’ 논란과 함께 ‘퍼주기 회담’ 의혹까지 일고 있다. 김 전 대통령은 그동안 기회 있을 때마다 북측에 김 위원장의 답방 약속을 지키라고 요구했다. 하지만 1차 남북 정상회담 이후 국내 보수단체를 중심으로 ‘반(反)김정일 정서’가 확산되면서 김 전 대통령의 이 같은 요구에 대해 북측은 묵묵부답으로 일관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김 위원장이 서울을 방문해 남북 정상회담을 가질 경우 북측이 김 위원장의 신변안전을 확신할 수 없다는 것이 이유였다. 이에 따라 남측에서는 김 위원장의 신변위협이 덜한 제주도나 제3국에서 정상회담을 여는 방안도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노무현 대통령은 지난해 1월 신년 기자회견에서 “상대가 원한다면 언제 어디서나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주제와 상관없이 응할 용의가 있다”며 한층 유연한 입장을 제시, 2차 정상회담이 성사됐다. 결국 이번에 북측으로부터 정상회담 개최에 대한 동의를 이끌어낸 결정적인 요인은 장소 문제였던 셈이다. 그러나 2차 정상회담이 답방 형식으로 이뤄지지 않고 또 평양에서 열리는 데 대해 특히 야당 측에서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김정훈 한나라당 정보위원장은 “지난번 회담을 평양에서 했으면 이번에는 답방이 예의인데 마치 구걸해서 회담을 하는 것처럼 평양에 간다는 것이 예의에 맞지 않고 준비시간도 촉박하다”고 꼬집었다. 나경원 한나라당 대변인도 “국민적 합의가 없는 어젠다로 투명성과 정당성이 보장되지 않은 남북 정상회담은 결국 퍼주기 구걸 의혹과 함께 정치적 뒷거래로 끝나고 말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