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금융권서 대출금리 인상 요구받아" 43%

지난달 한은 기준금리 0.25%P 올려<br>상의, 제조업체 500곳 조사…"1%P이상 올려달라"도 12%

‘은행들의 금리 마진을 높일 핑계만 준 셈.’ 지난달 초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리자 금융기관들은 이를 빌미로 거래기업들에 대출금리를 최대 1%포인트 높여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파악됐다. 결과적으로 한국은행의 통화정책이 은행 등 금융기관의 금리장사만 쉽게 만들어줬다. 11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500여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최근 기업 자금사정과 정책과제’ 결과를 보면 지난달 한은이 기준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한 직후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 금리 인상 요구를 받은 기업이 전체 응답기업의 43.4%에 달했다. 금융권이 요구한 금리 인상 요구 수준은 0.25~0.5%포인트가 38.3%로 가장 많았고, 0.25%포인트 미만이 24.4%, 0.51~0.75%포인트가 17.8%, 0.76~1.0%포인트 7.2%였으며, 12.2%는 1%포인트 이상의 비이성적 금리 인상 요구를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금융시장 불안에다 금융권의 대출 옥죄기까지 이어지면서 기업들의 자금 사정도 최악의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이맘때와 비교한 자금사정’에 대해 기업들의 43.0%가 ‘지난해 이맘때보다 어렵다’고 응답했고 ‘지난해 이맘때보다 낫다’고 응답한 기업은 7.5%에 불과했다. ‘지난해 자금사정에 비해 나아진 게 없다’는 기업이 92.5%에 달하는 셈이다. 자금사정이 어려운 기업을 대상으로 ‘현재 자금사정이 개선될 시기’를 묻는 질문에는 53.1%가 ‘내년’을 꼽았다. 이중 ‘내년 상반기’는 26.8%, ‘내년 하반기’는 26.3%였다. 32.4%에 이르는 기업은 ‘기약하기 어렵다’고 답했다. 기업들의 46.2%는 자금사정을 불안하게 하는 요인으로 ‘유가 및 원자재가 급등’을 꼽았고 금리ㆍ환율불안, 내수 부진, 금융권 대출 리스크 관리 강화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들은 어려운 자금사정 해소를 위해 정부가 역점을 두어야 할 사항으로는 기준금리 인상자제, 정책자금 지원확대, 급격한 환변동 방지, 총액대출한도 확대 등을 지목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