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부동산 규제가 집값급등 초래"

정부 고위 관계자 "참여정부 들어 3년간 30만가구 공급부족"<br>서울공항 이전 대통령 전용기 문제로 무산<br>사업용 부동산 거래세는 내년초 내리기로

재건축ㆍ재개발을 비롯한 정부의 각종 주택건설 규제가 참여정부 출범 이후에만도 무려 30만가구가량의 공급부족을 불러온 것으로 밝혀졌다. 아울러 경제 부처를 중심으로 수도권 주택공급의 획기적 통로로 인식돼온 성남 서울공항 이전을 두 차례나 추진했지만 대통령 전용기 이착륙 문제 등으로 무산된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의 한 고위관계자는 19일 “지난 2002년 이후 부동산 값 급등의 주요 원인은 매년 30만가구 이상의 주택공급이 필요했음에도 실제로는 20만가구에 그쳐 매년 10만가구, 2003년부터 2005년까지 3년 동안 총 30만가구의 공급물량이 받쳐주지 않았던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며 “이 같은 공급부족은 주택건설 규제가 강화된 데 기인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정부가 난개발을 방지하기 위해 지자체에 기존의 준주거지와 상업지역을 생산지역ㆍ보존지역ㆍ계획지역으로 분류, 개발하도록 권한을 이양했지만 시행 몇 해가 흘러 최근 확인한 결과 전국 지자체 가운데 이를 시행하고 있는 곳은 대전ㆍ울산 두 지역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민간 건설업자들이 어디를 개발해야 할지 갈피를 잡지 못하는 실정이라고 이 관계자는 설명했다. 이와 함께 재건축ㆍ재개발 규제가 이뤄지고 있는 점, 주상복합 건물의 주택건설 비율이 이전 90%에서 70%로 낮아지고 오피스텔은 사무실과 주거시설 비율이 5대5에서 7대3로 낮아진 점, 다가구ㆍ다세대주택 건설시 필요조건으로 주차부지 확보를 강화한 점 등을 공급부족의 원인으로 꼽았다. 정부 핵심 당국자의 이 같은 발언은 참여정부가 추진해왔던 수요억제 중심의 정책이 실패했음을 다시 한번 확인해주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강남을 대체할 수 있는 핵심지역으로 꼽히는 성남 서울공항 이전과 관련, 이 관계자는 “대통령 공약에서, 그리고 10ㆍ29대책에서도 서울공항 이전을 추진했지만 대통령 전용기의 이착륙 문제로 이를 실행하지 못했다”고 아쉬움을 표시했다. 한편 이 관계자는 최근 서비스업 활동화 방안에서 언급된 사업용 부동산 거래세 인하시기와 관련, “행정자치부가 반대하고 있지만 어떤 방식으로든 설득해 내년 초에는 시행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