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사행성 게임로비 수사 정·관계 인사로 확대

검찰, 문화부 과장 11일 소환

사행성 게임 로비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의 칼끝이 게임업체로부터 돈을 받은 정ㆍ관계 인사로 모아지고 있다. 지난 8월21일 사행성 게임 비리와 관련해 대대적인 수사에 착수한 지 51일 만이다. 하지만 정치권 거물급 인사 개입설 등에 대해서는 물증 확보가 어려워 답보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10일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에 따르면 게임 관련 이익단체 대표로부터 돈을 받은 의혹을 받고 있는 문화관광부 K과장을 11일께 피내사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하기로 했다. 검찰의 한 관계자는 “구속 중인 한국컴퓨터게임산업중앙회(한컴산) 김민석 회장이 게임 및 상품권 정책의 핵심 보직에 있던 K과장에게 3,000만원을 건넸다는 진술을 확보했다”며 “조만간 K과장을 직접 불러 진위 여부를 추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검찰은 K과장에 대한 소환조사와는 별도로 확실한 물증 확보를 위해 K과장의 계좌도 집중 추적 중이다. 검찰은 수사 대상자들이 계좌추적을 피하기 위해 현금으로 뇌물을 주고받는 등 주도 면밀함을 보여 수사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K과장 등에 대한 계좌추적을 통해 정ㆍ관계 로비의혹에 대한 단서를 찾는 데 한걸음 다가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검찰은 K과장에 대한 계좌추적이 끝나는 대로 김모씨 등 사행성 성인 오락의 핵심 브로커와 정ㆍ관계 인사들을 소환해 이들의 로비의혹을 규명하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검찰은 또 게임ㆍ상품권 정책과 직접 연관된 문화부 공무원은 물론 무관한 직원들도 개인 비리, 알선 등 공직자로서 ‘부적절한 처신’을 했다는 정황이 상당수 포착됨에 따라 수사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꼬리가 길면 잡히는 법이고 (이번 사건에 투입된) 검사들이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며 “국민이 원하는 결과를 내놓도록 할 것”이라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관련기사



김홍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