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저소득층 소득대비 주거비부담 13년만에 최고

소득보다 월세비 등 증가율 높아 가계부담 커져<br>고소득층의 주거비부담은 1.3%에 불과

작년에 저소득층의 소득대비 주거비가 13년만에가장 높은 수준으로 뛰어 올라 부동산 관련 가격의 상승에 따른 서민들의 가계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소득층의 주거비 부담은 지난 93년 이후 줄어들고 있다. 이는 소득 증가율이 낮은 저소득층의 경우 월세비 등의 부담이 커지고 있는데비해 소득증가액이 많은 고소득층은 자기집을 갖고 있어 주거비 부담이 크지 않기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7일 통계청에 따르면 사무직을 포함한 도시근로자가구를 소득기준으로 10개 분위로 나눴을 때 소득이 가장 낮은 1분위의 작년도 소득액 대비 주거비(월세.주택수리비 등)는 7.9%로 전년의 7.6%에 비해 0.3%포인트가 상승, 지난 91년의 9.2% 이후13년만에 가장 높은 수준에 도달했다. 이는 작년에 1분위의 월평균 소득액이 79만907원으로 전년의 78만2천138원보다1.1%가 늘어나는데 머물렀으나 월평균 주거비는 5만9천982원에서 6만2천482원으로 4.2%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1분위의 소득대비 주거비 비율은 지난 91년에 9.2%로 정점을 찍은 이후 97년에는 5.8%까지 내려왔으나 98년 7.1%, 99년 7.0%, 2000년 5.9%, 2001년 7.2%, 2002년6.5%, 2003년 7.6%에 이어 작년에는 8%에 육박했다. 2분위의 작년도 월평균 주거비는 6만3천315원으로 소득액 144만5천211원의 4.4%에 이르러 소득대비 주거비 비율이 지난 99년의 4.5% 이후 5년만에 가장 높았다. 작년에 2분위의 소득액은 전년의 140만4천369원에 비해 2.9%가 늘어나는데 그쳤으나 주거비는 전년의 5만9천44원보다 7.9%나 오르는 등 2분위에서도 소득보다 주거비의 상승률이 훨씬 높았다. 2분위의 소득대비 주거비 비율은 2000년 4.3%, 2001년 4.1%, 2002년 3.7% 등으로 내려오다 2003년에는 4.2%로 상승한데 이어 작년에는 전년보다 0.2%포인트가 올라갔다. 반면, 소득수준이 가장 높은 10분위의 작년도 월평균 소득액은 735만7천838원이었으나 주거비는 9만2천254원에 머물러 소득대비 주거비 비율이 1.3%에 그쳤다. 10분위의 이 비율은 지난 93년에 2.1%였으나 97년 1.7%, 98년 1.6%, 99년 1.5%,2000년 1.3%, 2001년 1.3%, 2002년 1.2%, 2003년 1.3% 등으로 하향 추세를 보이고있다. (서울=연합뉴스) 윤근영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