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박용성 회장 "국내기업 무분별 中진출 경계를"

박용성 회장 "국내기업 무분별 中진출 경계를" ‘재계의 입’으로 통하는 박용성(사진)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이번에는 국내 기업들의 무분별한 중국행에 대해 경계론을 폈다. 경제사절단을 이끌고 중국 ‘동북3성’을 방문 중인 박 회장은 12일 지린성 창춘시 샹그릴라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중국은 한국기업의 비상탈출구가 아니며 낮은 인건비나 대지 임대료에 현혹돼 뚜렷한 계획 없이 진출하면 실패한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에 진출한 국내기업은 거대 내수시장을 겨냥, 대규모 투자가 가능하거나 인건비 부담이 큰 기업들”이라며 “중국은 인공위성과 원자폭탄 기술을 갖고 있는 과학기술 국가로 웬만한 기술력으로는 성공하기 힘들다”고 강조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중국 베이징에 투자했던 국내 기업 40개 중 5개사만이 살아남을 실정이라고 박 회장은 설명했다. 그는 “사회주의 잔재로 제품의 디자인과 색감이 다소 떨어질 뿐 중국은 절대 얕볼 상대도, 황금시장도 아니다”며 “우리 정부가 노사문제와 기업규제만 잘 해결해주면 한국에서 버티는 게 낫다”고 덧붙였다. 박 회장은 또 “동북아 중심국가 건설을 위해 한ㆍ중ㆍ일 3국간 매개체인 한자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며 “중국ㆍ일본처럼 한자 약자를 도입해 3국간 의사소통을 원활히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형욱 기자 choihuk@sed.co.kr 입력시간 : 2004-07-12 17:30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