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경제난 반영하는 저축률 추락

가계의 저축률이 지난 해 3% 초반에 그친 것으로 본지 조사 결과 나타났다. 가계저축률이 낮다는 것은 미래를 대비할 여유가 없다는 뜻으로 그만큼 가계 수지사정이 어려워지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가계저축률은 지난 1990년대 후반까지만 하더라도 20~30%를 기록했다. 외환위기 직전인 97년만 하더라도 15%나 됐다. 100원을 벌면 15원을 저축했다는 얘기다. 저축은 우리에게 미덕이었다. 그러나 외환위기로 부었던 예ㆍ적금을 깨기 시작하면서 2000년에는 9.9%로 떨어진 후 계속 추락하고 있다. 가계저축률이 계속 내리막길을 걷는 이유는 여러 가지다. 저축보다는 우선 필요한 소비부터 하고 보는 세태변화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저금리추세로 예금 금리가 낮다 보니 수익률이 낮은 저축상품보다는 부동산투자 등으로 투자패턴이 바뀐 측면도 적지 않다. 그러나 근본적인 원인은 각종 세금과 의료보험 등 경직성 경비의 지출이 꾸준히 늘어나 저축여력이 그만큼 줄어드는 데 있다. 계속되고 있는 금리인상으로 인한 금융비용부담 증가와 늘어나는 사교육비 부담도 저축률을 떨어뜨리는 주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문제는 가계저축률의 하락속도가 예상보다 매우 가파르다는 점이다. 이런 추세라면 저축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최근 가계발 금융불안가능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어 저축의 필요성은 더욱 절실해지고 있는데도 추세는 거꾸로 가고 있다. 낮은 저축률로는 외부충격에 약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가계불안을 해소하고 경제안정을 위해서라도 저축을 장려ㆍ촉진할 수 있는 정책적 대안마련이 필요하다. 과세체계를 합리적으로 고치고 연금제도도 과감히 손질해 재정부실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노력부터 해야 한다. 사교육비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특단의 대책도 요구된다. 그러나 보다 근본적인 해법은 경제활성화를 통한 일자리창출에 있다고 할 것이다. 일을 해야 소득이 생기고 소득이 있어야 저축할 여력도 생기기 때문이다. 저축률 하락은 고령화문제처럼 미래불안을 증폭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서둘러 해결해야 할 주요 현안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