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골프손자병법] 장타만이 능사 아니다


故善戰者 求之於勢 不責之於人 故能擇人而任勢(고선전자 구지어세 불책지어인 고능택인이임세). ‘고로 전쟁을 잘하는 자는 전쟁의 승패를 전체적인 기세에서 구하지 일부 병사들의 활약에 기대하지 않는다. 따라서 능력있는 자를 택해 임명하고 그에게 힘을 실어줘 기세를 발휘하도록 해야 한다.’ 전 홀에서 버디는 그날의 반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다. 실력인지 요행인지는 본인만 알 수 있겠지만 아무튼 전환점이 될 수 있다. 그런데 기세등등해 다음 홀 티샷 때 미스를 내는 일이 더 많다. 모처럼의 경사(?)에 그만 자신의 평균 기량을 잊어버리고 또 한번 멋진 플레이를 펼칠 것으로 욕심내기 때문이다. 이는 어쩌다 잘 맞은 드라이버 샷에 너무 집착한 결과 다음 홀까지 영향이 미친 것이다. 하지만 버디는 드라이버 샷이 10m 더 나간다고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버디(또는 멋진 파) 이후 플레이를 보면 그 사람의 진짜 실력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급자는 다음 홀에서 안전을 먼저 생각하지만 아직 기량이 충분히 갖춰지지 않은 골퍼는 이전 홀 버디 장면만 떠올리며 드라이버 샷에만 잔뜩 힘을 준다. 병세(兵勢)편의 위 구절처럼 승패는 일면보다 대세에 달렸다. 드라이버, 아이언, 어프로치, 퍼팅의 실력 향상과 체력이 합쳐져 자신감으로 이어진다. 90대까지는 거리보다 힘을 조금 절제해 페어웨이를 지키는 드라이버 샷이 필요하고 80대는 아이언 샷과 그린 주변 플레이 연습이 급선무다. 싱글 핸디캐퍼는 여기에다 퍼팅의 수준을 높여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