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가계빚 가구당 2,070만원

1년전보다 23.5%증가 전체 300조 넘어 지난 6월말 현재 우리나라의 가구당 가계빚이 2,070만원에 달해 1년전의 1,670만원에 비해 23.5%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전체의 빚도 30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저금리로 은행들의 가계대출이 활성화되고 특히 주택담보대출이 급증하면서 가계 빚이 빠른 속도로 불어났기 때문이다. 1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ㆍ4분기 가계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 6월말 현재 가계신용잔액은 296조원을 기록, 지난해 같은기간보다 24%(19조7,416억원)가 증가했다. 최근 가계대출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할 때 이날 현재 전체 가계빚은 300조원을 훨씬 넘어선 것으로 추산됐다. 형태별로는 일반자금대출과 주택자금대출로 구성되는 가계대출(잔액 265조원)이 23.2% 증가했고 가계의 소비활동과 직접 연관되는 판매신용(30조9,000억원)은 신용카드회사의 판매신용을 중심으로 31.4%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판매신용이란 할부금융회사, 신용카드 회사와 백화점, 자동차사, 가전사 들이 소비자의 물품구입과 관련해 제공한 신용을 말한다. 가계대출이 늘어나면서 은행과 비은행금융기관의 민간 원화대출금중 가계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6월말 현재 50.5%를 기록, 처음으로 50%를 넘어섰다. 가구당 가계빚은 지난해말 1,860만원에서 지난 3월말 1,930만원, 지난 6월말 2,070만원으로 불어났다. 가계대출이 이처럼 크게 늘어난 것은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증가에 따른 것으로 한은은 분석했다. 한은은 "2분기중 은행가계대출 증가액 12조원 가운데 3분의 2 정도가 주택담보대출 증가분"이라며 "최근 주택경기 활황을 감안할 때 이 자금은 대부분 기존 고금리 대출상환, 주택구입 등에 사용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한은은 지난 2분기 가계신용은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경쟁적인 인하와 카드사용금액에 대한 소득공제한도 확대 및 민간소비의 견조한 증가 등으로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안의식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