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선진국들 금리정책 차별화

최근 국제 외환시장이 출렁이는 것과 맞물려 주요 선진국들의 금융정책이 엇갈린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미국ㆍ영국ㆍ호주ㆍ중국 등은 경기 회복 속도가 빨라지면서 인플레이션을 우려, 긴축정책을 지향하고 있지만 유럽연합(EU)ㆍ캐나다ㆍ일본 등은 달러 하락에 따른 저성장을 극복하기 위해 완화정책으로 선회하고 있다. 이 같은 움직임은 특히 6~7일 미 플로리다 서방 선진7개국(G7) 재무장관회의에서 약 달러 추세를 막지 못할 것이란 예측이 나오면서 더욱 뚜렷해질 것으로 보인다 5일 영란은행은 인프레 차단을 위해 금리를 0.25%포인트 올리는 등 3개월 사이 두 번의 금리인상을 단행했다. 미국은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지난달 금리인상을 시사, 이르면 상반기 금리인상을 단행할 전망이다. 호주의 경우 지난해말 하반기 금리를 두 차례 올렸다. 하지만 자국 통화가 지난해 달러에 대해 22%나 오르면서 경기 회복이 둔화되고 있는 캐나다는 지난 1월 금리를 내렸다. 약 달러의 또 다른 피해국 일본은 5일 현행 금리를 유지했지만 지난달 유동성 목표를 30조엔에서 35조엔으로 확대하는 등 금융 완화정책을 채택했다. 유럽중앙은행(ECB)도 이날 금리를 유지했지만 이번 G7 회의에서 달러 약세 시정 요구가 받아 들여지지 않을 경우 금리를 인하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주요 선진국의 금리 방향이 달라지면서 금리 차이에 따른 국제 유동성 흐름도 더욱 급격히 바뀌어 나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뉴욕=김인영특파원 inkim@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