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저가항공 안전문제 다시 수면위로

지난 주말 제주항공 여객기가 김해공항에 착륙한 뒤 활주로를 이탈해 승객 10여명이 부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저가항공사의 안전 문제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지난 2005년 국내에 저가항공 시대가 열린 이후 크고 작은 안전사고가 이어지고 있는데다 6월에 한국인 탑승자 13명의 목숨을 앗아간 캄보디아 PMT항공 추락 사고와 겹치며 저가항공사에 대한 승객들의 불안감은 높아지고 있다. 현재 부산ㆍ인천ㆍ전북 등 각 지방자치단체는 앞다퉈 지역 저가항공사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또 기존 저가항공사인 제주항공과 한성항공은 국내선을 넘어 국제선 취항을 모색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국내 저가항공사들이 제2의 도약기를 준비하는 시점에 제주항공의 활주로 이탈 사고가 발생하면서 안전 문제를 둘러싼 정부 당국과 항공업계의 물밑 싸움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보인다. 현재 한성항공과 제주항공은 국내선 운항 경험이 3년은 넘어야 국제선 운항을 허가할 수 있다는 건설교통부의 방침이 국내 저가항공사에 대한 역차별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사고를 계기로 국내선 운항에서 안전성을 입증하지 못하면 국제선 취항은 불가능하다는 건교부의 논리가 탄력을 받을 가능성이 한층 높아졌다. 다만 지자체의 국내선 저가항공사 설립은 등록제인 만큼 당장 설립에 지장을 받는 일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수익성 악화에 직면한 저가항공사들은 국제선 취항이 절실한 실정이며 이용객이 갈수록 줄어드는 지방공항도 지역 저가항공사 설립을 통해 부활을 도모해야 하는 절박한 상황에 몰려 있다. 문제는 항공운송사업의 경우 승객의 목숨과 직결되는 문제인 만큼 항공사의 수익성만을 고려할 수 없다는 데 있다. 더구나 국제선 운항은 국가 이미지와 직결되는 만큼 항공업계의 수익성에 앞서 안전성을 먼저 고려해야 한다. 앞으로도 저가항공 운항을 둘러싼 안전성과 수익성의 이해상충 문제는 반복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지금이라도 건교부와 항공업계, 각 지자체들은 서로 충분한 대화를 통해 저가항공사 운영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을 만들어야 한다.

관련기사



이재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