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12월 30일] C&중공업 워크아웃 취지 살려야

C&중공업에 대한 채권단의 신규자금 지원방안이 부결돼 워크아웃을 통한 회생방침에 차질을 빚게 됐다. 의결권 51.5%를 차지한 메리츠화재가 긴급운영자금 150억원을 지원하는 방안에 동의할 수 없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워크아웃을 신청한 지 1개월 만에 나온 결정이 지원부결이라는 점에서 워크아웃 전망이 불투명해진 셈이다. 채권단은 하루빨리 다시 만나 워크아웃의 당초 취지를 살리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업 구조조정은 회생 가능한 기업을 속전속결로 지원해 살리는 것이 원칙이다. 조선업 구조조정의 첫 케이스인 C&중공업에 대한 자금지원이 채권단 내부의 이견으로 부결된 것은 이 같은 원칙에 위배된다. C&중공업이 요청한 150억원은 모든 채무 9,000억원의 2%도 되지 않아 채권단에 큰 부담을 주지 않는다. 이 정도도 지원되지 않는다면 앞으로 워크아웃 진행과정에서 필요한 자금수혈이 제대로 이뤄질지 걱정되지 않을 수 없다. 현재 채권 금융기관 간의 쟁점은 150억원의 지원배분과 선수금환급보증(RG) 문제다. 특히 RG는 연간 100조원 규모이기 때문에 C&중공업의 RG를 잘못 처리하면 더 큰 부담을 안을 수 있다는 것이 보험회사 측의 걱정이자 주장이다. 일리가 없지는 않지만 우선 시급한 150억원부터 지원해 회사가 돌아가게 한 후 문제를 협의하는 것이 순서다. 기업을 살리자는 것이 워크아웃인데 망하게 되면 지원의 의미가 없다. 현재 정부는 중소 조선사에 대한 강력한 구조조정을 예고하고 있다. 회생 가능성이 높은 C&중공업의 워크아웃이 이처럼 질척거린다면 조선사의 구조조정 전망은 극히 불투명하다. 채권 금융기관이 서로 대국적인 견지에서 한발씩 물러나 자금지원 분배율 등에 대한 합의점을 찾아야 한다. 건설ㆍ조선 등 전산업에 구조조정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상황에 C&중공업에 대한 채권단의 지원은 앞으로 잇따를 구조조정의 시금석이라는 점에서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올해 안에 자금을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렵게 된 상황에서 연초에라도 지원해 회사가 돌아가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