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SK글로벌 부실 규모 얼마나 될까

SK글로벌 전 CFO(재무담당 임원)의 발언으로 촉발된 해외법인 부실 `3조4,000억원`의 정체는 무엇일까. 만일 3조4,000억원이 SK측 주장대로 추가 부채가 아니라 해외법인 자산의 부실이라면 SK글로벌의 총 부실은 얼마일까. 파문의 당사자인 문덕규 SK글로벌 전무는 22일 채권단에 “3조4,000억원은 해외법인 자산이 부실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SK글로벌의 총 부실이 5조원을 훨씬 넘어설 수 있다는 일각의 우려는 일단 불식된 셈이다. 채권단은 문 전무의 설명을 수긍하면서도 여전히 해외법인의 부실 규모가 4조원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실사 결과에서 추가로 드러날 부실(본사 거래분)을 감안하면 SK글로벌 본사의 총 부실 규모는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다. ◇3조4,000억원 정체= SK그룹은 3조4,000억원의 정체와 관련해 이날 두개의 사안에 대해 해명을 내놓았다. SK그룹은 우선 3조4,000억원은 해외법인이 갖고 있는 매출채권 등 자산이 부실화한 것으로 SK글로벌 본사의 추가부실이나 총 부채(8조5,000억원)가 늘어난게 아니라고 밝혔다. SK그룹은 이와 함께 3조4,000억원이 2001년말 현재 지급보증액 3조2,000억원과 투자 자본금 2,500억원이며, 1년만에 8,000억원이 감소해 2조4,000억원이 됐다는 전날의 해명에 대해서는 `잘못된 것`이라고 정정했다. 문제는 해외법인의 부실화자산이 아니라 SK글로벌이 추가로 책임져야 할 규모다. ◇총부실 규모는=현재로선 8개 해외법인 부실 자산 3조4,000억원에 SK글로벌본사가 책임을 져야 할 지급보증액이 얼마나 되는지 쉽게 가늠되지 않는다. 정확한 규모는 SK글로벌에 대한 회계법인의 실사가 끝나봐야 알 수 있다. SK그룹은 일단 8개 해외법인의 부실자산은 총자산 5조~5조5,000억원 중 3조4,000억원이며 이 가운데 SK글로벌 본사가 책임져야 할 지급보증액이 2조4,000억원뿐이라고 강조했다. 채권단은 하지만 SK그룹의 말을 액면 그대로 믿지않는 눈치다. 채권단 관계자는 “SK글로벌 해외법인의 부실화자산은 기준시점이 2001년이어서 이를 현재가치로 평가하면 4조원까지 늘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들 자산이 모두 글로벌 본사의 추가 부실로 잡히는 것은 아니다. 금감원 관계자는 “3조4,000억원중 상당부분이 SK그룹이 기존에 발표한 부실 2조4,000억원에 포함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기에 회계법인의 실사 결과 추가로 드러날 부실중 본사와의 거래가 있는 부실 규모 `알파`를 보태면 SK글로벌의 총 부실규모가 확정된다. 시장에서는 이 같은 사항들을 종합할 경우 SK글로벌의 총 부실규모가 4조~5조원 가량에 이를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김영기기자, 손철기자 young@sed.co.kr>

관련기사



김영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