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BK21' 2단계사업 예산 2배이상 증액

7년간 2兆 8,000억 투입…내년 3월부터 시행


대학가 초미의 관심사인 ‘두뇌한국(BK) 21’의 2단계 사업 예산이 1단계에서보다 2배 이상 증액될 전망이다. 교육인적자원부는 내년부터 오는 2012년까지 7년간 계속될 2단계 BK21사업에는 1단계에서보다 2배 이상 많은 총 2조8,000억원의 대규모 재원이 투입된다고 20일 밝혔다. 이에 따라 각 대학마다 이 프로젝트와 관련된 연구사업을 따내기 위한 치열한 물밑 경쟁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교육부는 최근 2단계 사업을 구상하기 위해 기획단을 새로 구성했으며 예산이 확보되는 대로 사업계획을 공고한 뒤 신청ㆍ평가ㆍ심사 등의 과정을 거쳐 연말까지 지원대상 사업단을 선정한다는 방침이다. 2단계 사업의 첫 지원은 2006년 3월부터 이뤄진다. 지난 99년부터 올해 말까지 진행되는 1단계 BK21사업에는 과학기술ㆍ인문사회ㆍ지방대ㆍ특화사업 등의 분야에 총 1조1,677억원이 투입됐다. 이와 관련, 이날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교육부가 주최한 ‘(1단계) BK21사업 성과분석 국제 심포지엄’에서는 이 사업이 사업단(대학 컨소시엄) 선정과정에서의 공정성 시비, 나눠먹기식 사업배정 등 온갖 잡음 속에서도 ▦우수 과학기술인력 배출 ▦국제 수준의 논문 생산 ▦산학연계 촉진 등 상당한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됐다. 오세정 서울대 자연과학대학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이 사업으로 과학ㆍ기술 분야에서 석사 1만2,000명과 박사 5,000명이 배출됐다고 소개했다. 과학ㆍ기술 분야 연구진이 낸 국제 수준의 과학논문인용색인(SCI)급 논문도 사업 첫해 6,340건에서 지난해 1만3,334건으로 배 이상 늘었고 논문의 질적 수준을 나타내는 피인용지수(IF)도 1편당 1.70에서 2.02로 높아졌다. 그는 또 학부 정원감축과 교수 승진요건 강화, 교수업적평가제 등 인센티브 시스템 도입, 대학원 교과과정 개편 등 제도개혁에 대한 효과도 있었다고 평했다. 그러나 ▦선정과정의 공정성 시비 ▦지역ㆍ대학간 균형을 명분으로 한 ‘선택과 집중 원칙’의 일부 훼손 ▦타 부처 사업과의 연계성 부족 및 인력양성 지원 편중 ▦주관대학과 참여대학의 연구협력 저조 ▦중간진입 불가능에 따른 탈락 대학의 상실감 등은 이 사업의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