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2월 IPO 시장] '기업공개 붐' 소강상태… 3월 결산 이후에 대거 몰릴듯

지난달엔 13개 기업 IPO 러시<br>이달은 '이미지스테크' 1곳 뿐<br>늦어도 4월안에 5개 기업 예정<br>"장기 실적전망 등 따져 투자를"

2월 IPO시장은 다소 소강상태를 맞을 것으로 보인다. 한 투자자가 한화증권 창구를 통해 하이소닉 공모주에 대한 청약을 신청하고 있다.



1월에는 무려 13개 기업이 기업공개(IPO)에 나서면서 'IPO붐'이 일어났지만 2월에는 IPO시장이 다소 소강상태를 맞을 것으로 보인다. 연초 상장을 계획했던 기업들의 IPO가 3월 결산 이후로 미뤄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미지스테크놀로지만 이달중 공모주 청약=증권업계에 따르면 이달 공모주 청약을 진행하는 기업은 이미지스테크놀로지뿐이다. 이미지스테크놀로지는 비메모리 반도체(전자집적회로)의 주력제품인 햅틱 칩(Haptic Chip) 등을 생산하는 업체로 지난 2004년 3월 25일 설립됐다. 이 회사는 코스닥시장 상장 공모를 통해 조달한 자금을 사무실확장 및 연구개발비로 사용한다는 방침이다. 청약은 오는 17일부터 18일까지 양일간 진행된다. 희망공모가격밴드는 6,000원~7,500원으로 제시됐다. 총 배정주식 166만주 중 기관투자자에게 132만8,000주(80%), 일반청약자에게 33만2,000주(20%)를 배정할 예정이다. 상장 후 자본금은 27억8,000만원에서 36억1,000만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밖에 상장예비심사 승인을 통과한 기업 중 대다수도 조만간 IPO를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상장예비심사 승인을 받은 기업은 중국기업인 차이나킹하이웨이(건강보조식품 제조·판매), 디지탈아리아(무선인터넷서비스), 케이씨에스(중대형 서버 제조·판매), 마이다스아이티(소프트웨어 자문·개발), 이연제약(전문의약품 제조·판매), 포스코건설(토목·건설업) 등 총 6곳이다. 이들 중 포스코건설을 제외한 5개 업체는 이르면 내달, 늦어도 오는 4월 안에 IPO를 추진할 예정이다. 포스코건설의 경우 상장심사 유효기간이 내달 9일이면 만료되기 때문에 사실상 IPO추진이 어려운 것으로 지적된다. 한국거래소의 한 관계자는 "남은 시간이 별로 많지 않아 포스코건설이 IPO를 다시 추진할 가능성은 아주 낮다"고 말했다. ◇공모시장을 노리는 게 바람직해=지난 달 신규상장된 기업들의 주가 흐름은 예상보다 부진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상장 후 투자하기보다는 공모시장을 적극적으로 노리는 전략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월 27일 현재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 7곳 중 스타플렉스, 우리넷, 아세아텍, 승화엘엠씨 등 4곳은 상장 후 주가가 크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스타플렉스와 승화엘엠씨의 경우 상장 첫날부터 하한가로 직행했으며 아세아텍도 상장 후 이틀 연속 10% 이상의 내림세를 보였다. 올해 들어 한 동안 주식시장이 호황 양상을 보이자 대부분이 상장 시점에서 시초가가 지나치게 높게 형성됐기 때문이다. 봉원길 대신증권 스몰캡 팀장은 "일반적으로 시장 기대치가 높은 상장 직후 보다는 공모시장에서 주식을 훨씬 싸게 살 수 있는 경우가 많다"며 "IPO투자는 상장 이후에 나서기보다는 공모시장에 직접 참여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신규상장기업의 경우 주가예측이 어려운 만큼 실적흐름을 살피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봉 팀장은 "상장예정 기업들은 종목별로 주가흐름이 제각각이기 때문에 단기적인 수급보다는 장기적인 실적전망을 꼼꼼히 따지고 투자에 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