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안전 위협하는 수입차

열악한 서비스망에 리콜 외면… 결함 시정률 갈수록 줄어

정부가 제작 결함에 따른 안전 문제로 리콜을 실시했지만 수리를 받지 않은 수입차가 매년 급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비스센터 부족 등으로 수리를 받기 힘든 환경이 가장 큰 원인으로 지적된다.


6일 교통안전공단 국회 제출 자료를 보면 지난해 리콜 대상이 된 수입차 13만6,663대 가운데 올 1·4분기까지 시정 조치를 받은 차량은 63.2%(8만6,321대)에 그쳤다. 같은 기간 리콜 대상 국산차 62만3,643대 가운데 85.1%(73만3,175대)가 수리를 마친 것과 비교하면 수입차의 시정률은 19.9%포인트 더 낮았다.

관련기사



업체별로는 포드(26.7%), 캐딜락(38.3%) 등 최근 몇 년 새 판매가 급증한 브랜드의 시정률이 낮았다. 또 '스타크래프트밴'을 수입하는 락락모터스(33.9%), '익스플로러밴'을 수입하는 오토젠(17.1%) 등 직수입 업체들의 시정률이 하위권이었다.

수입차 판매가 늘면서 수입차 리콜 대수는 매년 급증하고 있다. 2010~2012년 연 4만대 수준이던 수입차 리콜 대수는 2013년 5만5,853대에서 지난해 14만7,178대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반면 수입차 리콜 시정률은 매년 낮아지고 있다. 2012년 88.4%였던 시정률은 2013년 84.3%, 지난해 63%를 기록했다.

수입차 시정률이 낮은 이유는 열악한 수리 환경 때문이다. 20개 수입차 브랜드의 전국 공식 서비스센터 숫자는 359개에 불과하다. 최근 3년 동안 판매된 수입차를 기준으로 서비스 센터 한 곳당 평균 2,100대가 수리를 받아야 한다.


강도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