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클린턴 美 국무 26일께 방한… 정부 '천안함 외교' 탄력 붙을듯

'先 천안함 後 6자회담' 한·미공조 입장정한듯


힐러리 클린턴(사진) 미 국무장관이 이달 말 방한하는 것이 사실상 확정되면서 정부의 천안함 외교가 한층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의 고위 외교소식통은 14일 "클린턴 장관이 이달 말 중국을 방문하고 한국에 들를 것"이라며 "현재 세부적인 일정을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소식통에 따르면 클린턴 장관은 오는 24~25일 중국을 방문해 미ㆍ중 경제전략대화를 갖고 26일 귀국길에 방한할 것이 유력하다. 무엇보다 클린턴 장관의 한국과 중국 방문 시기가 20일께로 예정돼 있는 천안함 사고 조사결과 발표 후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대응조치에 대한 한미 공조는 물론 미ㆍ중 간 협의도 심도 있게 진행될 것이기 때문이다. 또 천안함을 둘러싼 주변국들 간 미묘한 신경전이 진행되고 있는 와중에 미국의 외교수장이 한국을 방문한다는 점만으로도 정부의 천안함 대응 구상은 힘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클린턴 장관의 방한은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입장이 '한미 공조를 바탕으로 한 상응한 대응조치'로 입장 정리가 이뤄졌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는 정부의 '선(先) 천안함ㆍ후(後) 6자회담' 기조와 맥락을 같이하는 것이다. 따라서 천안함 사고가 북한의 소행으로 판명이 나면 한미의 외교적 대응과 함께 유엔 안보리 회부 등의 다자적 대응조치가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한미는 각급 외교 채널을 풀가동하며 다자 및 양자적 조치를 포함한 다양한 대응 방안의 '묶음 조치(of action)'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는 유엔 안보리 회부와 함께 한미 연합방위태세 및 한미 동맹 강화 선언 등이 포함된다. 고위 외교소식통은 "단순한 선언적 의미가 아니라 천안함 대응조치에 대한 한미의 공동 검토가 본격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클린턴 장관의 방한이 단순한 외교적 제스처일 뿐이라며 과도한 의미를 부여하기 어렵다고 지적하고 있다. 천안함 문제가 동아시아 정세의 핵심 이슈로 부각된 마당에 클린턴 장관이 중국 방문 계기에 한국을 배제하면 그에 따른 외교적 부담이 크기 때문에 부득이 들르게 된 것이라는 내용이다. 한편 천안함 외교를 내실 있게 추진하기 위해서는 미국 정부의 거물급 인사의 방한이 필요하다는 판단 아래 클린턴 장관의 방한을 성사시키기 위해 정부가 각별한 외교적 노력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