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방송영상진흥원 어느 부처서 맡게될까" 촉각

인수위·방송계 "방통정책 총괄 방통위가 맡아야"<br>문화부선 "방송도 콘텐츠, 통합관리해야 상승효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방송 진흥분야를 방송통신위원회로 넘길 예정임에 따라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KBI)의 소관 부처가 바뀔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인수위 관계자는 27일 “방송 콘텐츠를 한 쪽으로 모은다는 측면에서 KBI를 방통위 산하로 보내는 것을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문화관광부 소속인 KBI는 방송 프로그램 유통ㆍ제작 지원, 방송 인력 육성, 미디어 산업 연구 등을 하고 있다. 때문에 방송계에서는 KBI의 특성상 향후 방송ㆍ통신 정책을 총괄하게 되는 방통위에서 KBI를 담당해야 한다는 주장이 계속 제기됐다. 반면 문광부에서는 방송도 소설, 영화 등 콘텐츠의 하나로 통합 운영ㆍ관리돼야 상승효과를 낼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방송 관련 분야는 가능하면 모두 방통위로 모은다는 게 인수위와 한나라당 측 생각. 지난 해 KBI 예산은 약 492억원으로 방송위로부터 84억원, 국고에서 114억원을 지원받았고 방송회관과 상암동 DMS 임대 수익 등으로 290억원을 벌어들였다. 특히 방송위는 KBI가 운영하는 방송회관에 세 들어 있어 KBI 소관 부처가 바뀌게 되면 건물주가 하루 아침에 바뀌는 상황도 맞을 수 있다. 성동규 중앙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방통위라는 정부조직으로 바뀌면 방송위 연구 인력이 예전처럼 연구를 하기는 힘들어 질 것”이라며 “구조를 일원화 한 후 방송위 연구 기능을 KBI로 넘기는 게 맞다”고 말했다. 한편 현재 문화부에서 관장하고 있는 아리랑국제방송과 국악방송의 거취도 관심거리다. 이들 방송사는 KBI가 방통위로 넘어갈 경우 문화부에 존속시킬 이유가 없어진다는 게 방송관계자들의 분석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